美 연준 금리인하 기대·미중 긴장 속 달러 약세·금값 최고치

미·중 무역 긴장 속 안전자산 선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1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연준의 경기동향 보고서(베이지북)가 경기 둔화를 확인하면서 시장은 이달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으며, 12월에도 추가 인하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이어지며 시장 불확실성이 커졌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을 비판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회담에서 협상 재개 가능성을 열어뒀다.

달러 약세와 불확실성 속에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지며 금 가격이 급등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은 전장 대비 1% 오른 온스당 4,244.20달러(약 594만 원)에 거래됐고, 장중 한때 4,255.40달러(약 596만 원)를 기록했다. 현물 금값은 1.6% 상승한 4,207.77달러(약 589만 원)까지 올랐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지수(DXY)가 0.2% 내린 98.626을 기록했다. 파운드화는 달러 대비 0.1% 오른 1.3420달러(약 1,879원), 유로 대비 0.8678파운드로 보합세를 보였다.

채권시장에서 유로존 국채 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프랑스와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78.6bp로 축소됐으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028%로 2bp 하락했다.

유가도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히면서 공급 차질 우려가 커졌다. 브렌트유와 WTI는 각각 0.9% 오른 배럴당 62.45달러(약 8만7,000원), 58.33달러(약 8만2,000원)에 거래됐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금값 급등에 월가 ‘현기증’…제이미 다이먼 “금값 반쯤 합리적”

美 증시 하락…지방은행 불안에 투자심리 위축

중국, 미·중 무역 긴장 고조에 “책임은 미국”

미 증시, 은행 실적 호조에 상승 마감…트럼프 “우리는 지금 무역전쟁 중”

비트코인 공포지수 연중 최저…비트와이즈 “지금은 매도 아닌 매수 기회” 의견

비트코인, 레버리지 청산으로 하락세…ETF 유입이 회복 관건 – 글래스노드

리플, 재무관리 소프트웨어 기업 지트레저리 $10억에 인수

금값 급등에 월가 ‘현기증’…제이미 다이먼 “금값 반쯤 합리적”

인기뉴스

1

바이낸스, 2년만에 국내 거래소 고팍스 인수

고팍스
2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3

이더리움 재무기업 이더질라, 1대10 주식 병합 결정

이더질라
4

비트마인 톰 리 “가상자산 재무회사 거품 이미 꺼졌다”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5

리플 CEO, 전통 금융권 향해 ‘위선적’ 비판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
6

비트코인 대규모 청산 후 과거 사례는 ‘반등’

비트코인
7

에릭 트럼프, 월드리버티파이낸셜 USD1 활용 “부동산 실물자산 토큰화 추진”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미국 증시 / 프리픽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ETF

Follow ECONOMYBL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