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대비해야”

“관세 효과 여름 중 가시화될 것”
“금리 인하 시점은 무역 변수·물가 확인 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25일(현지시간)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장기화할 경우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며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파월 의장은 “경제 이론상 관세는 단기적 물가 충격으로 간주되지만, 반드시 그렇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며 “물가 안정 책임을 지는 입장에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가 단기간에 끝난다면 단발성 효과에 그칠 수 있겠지만, 만약 지속된다면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잘못된 판단은 오랫동안 대가를 치르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현재 기준금리를 4.25~4.5%로 유지하고 있으며, 연내 두 차례 인하 전망이 유력하지만 시점은 불투명하다. 파월 의장은 “관세 부과 최종 수준과 물가 반영 양상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며 “오는 6월과 7월 소비자물가에 관련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입장이 엇갈렸다. 오하이오주 버니 모레노 상원의원은 “금리 결정을 정치적 시각에서 접근한다”며 파월 의장을 비판한 반면, 노스캐롤라이나주 톰 틸리스 의원은 “대형 유통사들도 관세 영향을 판단하지 못하고 있다”며 신중론에 무게를 실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파월 후임으로 고려 중인 인물을 3~4명으로 좁혔다”고 밝히며, 오는 5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조기 지명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이번 관세는 규모와 상황이 이전과 다르다”며 “지난 4년간 목표치(2%)를 웃도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된 만큼 가격 전이 효과가 장기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준의 최근 경제전망에 따르면 전체 19명의 정책위원 중 10명은 연내 두 차례 이상 금리 인하를 예상한 반면, 7명은 동결을 전망해 의견이 엇갈렸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외신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금값 하락”

주간 거시경제 주요일정 – 韓 APEC · 美 FOMC

미 CPI 전년대비 3% 예상 하회…3대 지수 사상 최고치

美 대형은행들 “연준, 이달 양적긴축 중단 전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비트플래닛, 비트코인 93 비트코인 매수…1만 BTC 확보 목표

외신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금값 하락”

솔라나 공동창업자 “이더리움 레이어2 보안성에 과장됐다”

인기뉴스

1

미·중, 말레이시아 무역협상 ‘건설적’ 평가…정상회담 앞두고 예비합의 언급

미국 관세
2

톰 리 “이더리움, 슈퍼 사이클” 주장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4

외신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금값 하락”

미국 중국 관세 전쟁
5

주간 거시경제 주요일정 – 韓 APEC · 美 FOMC

글로벌 경제
6

솔라나 공동창업자 “이더리움 레이어2 보안성에 과장됐다”

아나톨리 야코벤코 - 솔라나
7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매 암시

마이클 세일러
미국 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