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케일, AI 가상자산 섹터 신설…비트텐서·니어 등 AI 관련 코인 주목

그레이스케일
그레이스케일

비트텐서·니어 포함 20개 자산 분류
총 시가총액 약 27조4000억원
AI 플랫폼·도구·에이전트 3개 하위 섹터 구성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가 탈중앙화 인공지능(AI)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신규 ‘AI 암호화폐 섹터’를 5월 27일 발표했다.

그레이스케일은 기존 ‘암호화폐 섹터(Crypto Sectors)’ 체계에 따라 자산군을 분류해왔으며, 이번 AI 섹터는 여섯 번째 카테고리로 기존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 소비자·문화, 유틸리티·서비스 부문에 포함돼 있던 일부 자산을 재편입했다.

AI 섹터는 AI 기술의 개발, 지원, 응용을 핵심 활용 사례로 하는 가상산을 포함하며, 세부적으로 ▲AI 플랫폼 ▲AI 도구 및 자원 ▲AI 앱 및 에이전트의 세 하위 섹터로 구성된다.

■ 주요 내용

  • 섹터 신설 배경
    • AI의 영향력 확대와 탈중앙화 필요성 부각
    • 기존 5개 섹터(Currencies, Smart Contract Platforms, Financials, Consumer & Culture, Utilities & Services)에 더해 여섯 번째 섹터로 신설
  • 시장 규모
    • 포함 자산 수: 20개
    • 시가총액: 약 200억달러(약 27조6000억원)
    • 2023년 1분기 대비 약 4배 증가
    •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약 0.67%
  • 대표 프로젝트
    • 비트텐서(TAO): 시총 1위, 탈중앙 AI 개발 플랫폼
    • 니어(NEAR): AI 친화적 블록체인으로 전략 전환 중

■ 3개 하위 섹터 분류

  1. AI 플랫폼
    •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 플랫폼
    • 예: 비트텐서, 니어
  2. AI 도구 및 리소스
    •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및 컴퓨팅 리소스 제공
    • 예: 그래스(웹 데이터 수집), 아카시(컴퓨팅 마켓플레이스)
  3. AI 앱 및 에이전트
    • 사용자와 직접 연결되는 AI 응용 프로그램과 에이전트
    • 예: 버추얼스(에이전트 거래), 카이토(AI 기반 분석)
    • AI 관련 문제 해결 목적: 스토리 프로토콜(저작권), 월드코인(인증)

앱 및 에이전트 부문에는 버추얼(Virtuals), 엘리자OS(ElizaOS), 카이토(Kaito), 스토리 프로토콜(Story Protocol), 월드코인(Worldcoin)이 포함된다. 버추얼스와 엘리자OS는 사용자 대신 작동하는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카이토는 AI 기반 감성 분석 플랫폼으로, 스토리 프로토콜은 생성형 AI 시대의 지식재산권(IP) 보호를, 월드코인은 인간과 AI의 온라인 구분을 위한 ‘인간 증명’ 기능을 제공한다.

■ 제외 자산

  • 파일코인, 알위브 등은 AI 활용 가능성은 있으나 주된 목적이 AI가 아니므로 제외(기존 Utilities & Services 섹터 유지)

■ 최근 동향 및 주요 이슈

  • TAO 반감기: 올해 하반기 예정, 공급량 감소
  • 서브넷 성장: dTAO 업그레이드 후 TAO 참여율 상승
  • 분산 학습: 프라임 인텔렉트 등 대형 AI 모델 훈련 사례 등장
  • 수익성
    • 그래스: 데이터 판매로 연간 수천만달러 수익
    • 버추얼스: 플랫폼 거래 수수료로 연간 약 3000만달러 수익

해당 AI 섹터에는 총 20개 자산이 포함되며, 이들의 시가총액은 약 200억달러(약 27조4000억원)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0.67% 수준이다. AI 섹터 중 가장 시가총액이 높은 비트텐서의 토큰 TAO의 공급량은 비트코인과 유사하게 2100만개로 제한돼 있으며 4년 주기로 반감된다. 첫 반감기는 올해 예정돼 있다.

■ 향후 전망

  • 스테이블코인
    • AI 에이전트 기반 소액 결제 수단으로 주목
    • 코인베이스, 메타, 스트라이프 등 주요 기업 진출
    • 미국 내 관련 입법(crypto market structure bill, GENIUS stablecoin bill) 진행 상황 주시 필요
  • 그레이스케일 평가
    • “탈중앙 AI는 이제 시작 단계”
    • “향후 AI 기술 발전과 함께 중요성 더욱 커질 것”

그레이스케일은 해당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사모 상품으로 ‘그레이스케일 비트텐서 트러스트’, ‘그레이스케일 분산 AI 펀드’, ‘그레이스케일 니어 트러스트’를 운영 중이다.

또한 향후 중점적으로 살펴볼 테마로 ▲비트텐서 서브넷 성장과 반감기 ▲분산형 모델 학습 기술 ▲지속적인 수익 창출 사례 ▲AI 에이전트의 스테이블코인 결제 사용 확대 등을 제시했다.

FTSE 러셀과 공동 개발한 이 섹터는 오는 6월 20일 예정된 정기 리밸런싱부터 공식 지수에 반영될 예정이다.

번호한글명티커기존 섹터AI 하위 섹터
1비트텐서TAO스마트 계약 플랫폼AI 플랫폼
2니어NEAR스마트 계약 플랫폼AI 플랫폼
3렌더RNDR유틸리티 및 서비스AI 도구 및 리소스
4아카시AKT유틸리티 및 서비스AI 도구 및 리소스
5뉴머레어NMR금융AI 앱 및 에이전트
6페치에이아이FET유틸리티 및 서비스AI 플랫폼
7오션 프로토콜OCEAN유틸리티 및 서비스AI 도구 및 리소스
8싱귤래리티넷AGIX유틸리티 및 서비스AI 플랫폼
9오리진트레일TRAC유틸리티 및 서비스AI 도구 및 리소스
10골렘GLM유틸리티 및 서비스AI 도구 및 리소스
11피닉스PHB유틸리티 및 서비스AI 도구 및 리소스
12코르텍스CTXC스마트 계약 플랫폼AI 플랫폼
13오라이체인ORAI스마트 계약 플랫폼AI 플랫폼
14벨라스VLX스마트 계약 플랫폼AI 플랫폼
15시네시스 원SNS소비 및 문화AI 앱 및 에이전트
16버추얼스VIRT신규 편입AI 앱 및 에이전트
17그래스신규 편입AI 도구 및 리소스
18카이토신규 편입AI 앱 및 에이전트
19엘리자OS신규 편입AI 앱 및 에이전트
20스토리 프로토콜신규 편입AI 앱 및 에이전트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오픈AI, 연간 매출 13조원 돌파…반년 만에 두 배 성장

엔비디아, 시가총액 4750조원…MS 제치고 세계 1위 탈환

로빈후드 CEO “AI가 사토시 나카모토 처럼 1인 기업 양산할 것”

오픈AI, GPT-5 출시 후 모델 명칭 체계 단일화 예정

모포, 기관 수요 겨냥한 고정금리·맞춤형 대출 서비스 출시 예정

폴리곤, 웜홀 NTT 통해 POL 토큰 솔라나로 확장

트럼프家 코인 프로젝트 WLFI, 스왑·렌딩 출시 예고…브릿지 모듈만 오픈

체인링크, JP모건 키넥시스·온도, 토큰화 국채 결제 테스트 협력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체인링크, JP모건 키넥시스·온도, 토큰화 국채 결제 테스트 협력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코인 이미지

[시황] 트럼프, 관세 위협에 미 주가지수·코인 상승폭 둔화

코인 이미지

정부가 코인 상장폐지 권한 검토…거래소 결정권 제한 되나

인기뉴스

1

블룸버그 “텐센트, 넥슨 인수 검토 중”

텐센트 로고
2

전설의 코인 트레이더 ‘워뇨띠’ 근황과 성공비결·트레이딩 원칙 – 비트멕스 인터뷰

비트멕스
3

솔라나판 스트래티지 ‘DFDV’, 신고서 누락으로 10억달러 규모 증자 철회

디파이디벨롭먼트
4

미 상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지니어스 법’ 16일 본회의 표결로

스테이블코인
5

정부가 코인 상장폐지 권한 검토…거래소 결정권 제한 되나

코인 이미지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알트코인 시즌 지수 – 코인마켓캡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보유량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도미넌스(ETH.D) 차트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차트

구글 국내 비트코인 검색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