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튼스쿨의 경제학자 제레미 시걸 교수가 최근 인공지능 관련 주식의 급등 현상을 분석했다.
그는 AI 주식이 거품인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며, 대형 기술주의 정점 도달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CNBC 인터뷰에서의 시걸 교수 발언
시걸 교수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장기적으로 보면 AI 주식이 과대평가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시장의 모멘텀이 기본적인 가치보다 훨씬 높은 주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이 주식들이 얼마나 더 상승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1990년대 닷컴 거품과 AI 붐 비교
그는 1990년대 닷컴 거품과 현재 AI 주식의 급등 현상을 비교하면서, “이익이 없는 기업들이 높은 가치 평가를 받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에 대해서는 “최근 수익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안정적이고 우수한 기업”이라고 평가했다.
시걸 교수는 “현재 S&P 500 지수에서 상위 8~9개 기업이 전체 이익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490개 기업의 성장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S&P 500 지수는 약 10% 상승했으며, 이는 메타(구 페이스북), 엔비디아 등의 주가가 115% 이상 상승하며 시장을 견인한 결과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의 주가도 각각 39% 이상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의 강세장을 형성했다.
은행 부문 혼란과 AI 주식 상승의 관계
시걸 교수는 최근 몇 달간 발생한 은행 부문의 혼란이 S&P 500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그는 “초대형 기술 기업들은 충분한 신용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중소 은행들은 대출을 꺼리고 있다”며, 이러한 현상이 AI 관련 기술주에 더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3월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 이후, 은행권의 대출 여력이 줄어들면서 기업들의 신용 조건이 악화됐다.
그는 “신용 조건이 악화되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어 경제 전반이 둔화될 수 있다”면서도, “이러한 상황에서도 초대형 기술 기업들은 충분한 유동성과 신용을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이 같은 금융 시장의 변화가 AI 관련 기술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이 계속해서 주도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걸 교수는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