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민·우리·케이·부산은행 등 내부 조직 신설
스테이블코인 발행·수탁 등 구체 계획 수립 중
국내 주요 은행들이 가상자산 및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회에 계류 중인 스테이블코인 합법화 관련 입법 논의가 속도를 내자, 은행권은 내부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블록체인 기업과의 협력 방안 등을 준비하며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국민은행은 지난 6월 그룹 차원의 ‘디지털자산대응협의체’를 출범시켰다. 이 협의체는 KB금융그룹 산하 보험, 카드, 증권, 자산운용 등 전 계열사 차원의 전략 수립과 정책 대응 시나리오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외부 파트너사와의 협업도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은 디지털자산 사업 전담 조직인 ‘디지털자산팀’을 신설했다. 해당 팀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디지털지갑, 수탁 서비스 등을 포함한 가상자산 전반 사업을 담당한다. 우리은행 신사업얼라이언스플랫폼부 산하에 설치됐으며, 현재 블록체인 스타트업과 수탁 사업 관련 협약을 맺고 스테이블코인 컨소시엄 구성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KEB하나은행은 계열사별 유관 부서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업과 관련 인프라 구축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수탁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신한은행 역시 약 20명 규모의 가상자산 TF를 구성해 사업 방향을 논의 중이며, 국민은행은 원화 및 외화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총 81건의 상표 출원을 완료했다.
이 외에도 업비트와 협업 중인 케이뱅크는 디지털자산 전담 조직을 구성했고, 부산은행은 블록체인 기술 전반을 다루는 내부 조직을 운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