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722개 은행에서 자본금의 50% 이상 미실현 손실 보고

금리 인상 여파, 일부 은행은 자산 마이너스 수준 도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4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2022년 3분기 말 기준 722개 은행이 자본금의 50%를 초과하는 미실현 손실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 중 31개 은행은 유형 자산이 마이너스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발표는 연준 감독 및 규제 부서 이사회가 금리 인상이 금융 시스템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고, 이에 따른 감독 전략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연준은 “금리 상승은 투자 증권에 상당한 미실현 손실을 야기하고, 경우에 따라 은행의 유형 자산을 하락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장 가치 손실이 큰 은행의 경우 재무 및 위험 관리 문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의 금리 인상 정책과 관련해 시장에서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투자사 베네크의 디지털 자산 전략 이사 가보르 구르박스는 연준이 금리 인상의 부작용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정부나 대중에게 경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과 관련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라며, 실리콘밸리은행, 시그니처은행,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붕괴에 대해서도 “모든 예금자는 보호받았다”고 언급했다.

반면,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와 경제학자 피터 시프 등은 미국 은행 위기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시프는 향후 더 심각한 금융 위기가 닥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연준 로고
Fed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美 재무장관 “트럼프의 $2000 국민 배당, 감세·팁 면세 등 다양한 형태”

FT “美 연준 12월 금리 경로 불확실”

주간 거시경제 일정…엔비디아 실적 발표·9월 고용지표 주목

美증시 혼조…나스닥 소폭 반등·다우는 하락·가상자산 약세 이어져

인기뉴스

1

비트마인 톰 리 “가상자산 시장 정상화까지 6~8주 걸릴 수 있어”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2

주간 거시경제 일정…엔비디아 실적 발표·9월 고용지표 주목

미국 증시 / 프리픽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4

‘피터 틸’ 주도 파운더스 펀드, 비트마인 지분 절반 매각…254만주 보유

비트마인 이머전
5

아서 헤이즈, 이더리움 포함 일부 알트코인 $500만 매도

아서 헤이즈
6

세일러 “로켓 탈려면, 압력 버텨야”…비트코인 추매 시사

마이클 세일러
7

FT “美 연준 12월 금리 경로 불확실”

미국 증시 / 프리픽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JP모건
비트코인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차트

이더리움 도미넌스(ETH.D) 차트

알트코인 도미넌스 차트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알트코인 시즌 지수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