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크셔 해서웨이의 CEO 워렌 버핏이 실리콘밸리은행(SVB)의 갑작스러운 파산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예금자 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금융 시장에 심각한 위기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 총회에서 버핏은 “예금자들이 보증받지 못했다면 재앙이 됐을 것”이라며, 정부의 개입이 필수적이었다고 강조했다.
SVB 사태와 미국 정부의 대응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일반적으로 한 은행당 예금자 자금을 최대 25만 달러까지 보호한다. 그러나 SVB와 시그니처뱅크가 잇따라 뱅크런에 직면하며 파산하자, 미국 정부는 금융 시스템 안정을 위해 모든 예금을 전액 보장하는 긴급 조치를 발표했다.
SVB 파산 사태 이후 UBS가 크레디트스위스를 긴급 인수했고,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이 JP모건에 인수되는 등 금융권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됐다. 팩웨스트,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 등 다른 지역은행들도 리스크가 커지면서 신용 경색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부채 한도 문제에 대한 입장
버핏은 미국 정부의 부채 한도 협상과 관련해 큰 걱정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 관리자가 TV에 나와 은행 예금이 보호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상황을 상상할 수 없다”며, “그렇지 않다면 모든 은행에서 예금 인출 사태가 벌어지고 세계 금융 시스템이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은행 예금 안전성 강조
버핏은 최근 CNBC 인터뷰에서도 은행 예금의 안전성을 강조했다. 그는 내년에도 미국 은행 예금자가 단 1달러도 잃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며, 이에 대해 100만 달러를 걸겠다고 말해 신뢰를 강조했다.
SVB의 파산과 금융권 위기는 미국 경제에 장기적인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신용 경색이 심화되면 기업들의 대출 환경이 악화되고,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