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 생산량 확대…중앙은행 수요·탈달러화 흐름과 맞물려

  •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중국, 5개월 연속 금 매입 지속
  • 금 채굴 회복, 대형 광산 중심 생산 증가

중국의 금 채굴 기업들이 2023년 1분기 동안 생산량을 확대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수요 지속과 더불어, 최근 확산 중인 탈달러화 움직임과도 맞물려 주목된다.

중국 신화통신이 인용한 중국금협회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중국의 주요 금광은 총 32.72톤의 금을 생산해 전체 생산량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 이는 대형 광산들이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채굴 활동을 정상화한 결과로 분석된다.

중국은 2022년 한 해 동안 372톤의 금을 생산해 세계 최대 금 생산국으로 자리 잡았다. 다만, 이는 2016년 기록한 사상 최고치인 453.5톤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중앙은행 금 수요 지속…중국 5개월 연속 매입

세계금위원회(World Gold Council)는 지난 3월 보고서를 통해 2023년에도 중앙은행들이 금을 지속적으로 매입할 것이라 전망했다. 비록 2022년의 기록적인 매입량에는 못 미칠 수 있으나, 준비금 보강 차원의 금 매입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5개월 연속 금을 매입하며 약 100톤 이상의 금을 보유고에 추가했다. 현재 중국의 금 보유량은 약 2,068톤으로 추정된다. 2022년 최대 금 매입국은 터키 중앙은행이었다.

탈달러화 흐름 속 금 수요 확대 가능성

금 시장 분석가들은 이러한 금 매입 흐름이 일부 국가들의 탈달러화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한다. 2022년 기준, 중앙은행의 달러 준비금 비중은 47%로 하락했으며, 이는 미국 주도의 제재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금 시장 전문 분석가 얀 니우엔하위스는 중앙은행들의 귀금속 준비금 확대 정책이 금 가격을 온스당 최대 8,000달러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 기업들 “분기 실적 공시 폐지하고 반기 공시로 전환해야” 주장

트럼프 “미·중 유럽 무역회담 매우 성공…특정 기업 구제 합의”

JP모건 “연준 금리 인하 후 미국 증시 숨 고를 수 있어”

주간 거시경제 주요일정 – 美·日 기준금리·파월 기자회견 예정

바이낸스, 미국 법무부와 규재 문제 합의 임박

영국·미국, 가상자산 규제 협력 강화 추진

수이 개발사 미스틴랩스, 구글 ‘에이전틱 페이먼츠 프로토콜(AP2)’ 출범 파트너 참여

서클, 하이퍼리퀴드 코인에 투자 계획·하이퍼EVM에 USDC·CCTP V2 출시

바이낸스
수이 네트워크(SUI)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인기뉴스

1

비트멕스, 17일 국내 유명 고래 트레이더 ‘워뇨띠’와 실시간 AMA 개최

워뇨띠
2

에테나 재단, ENA 코인 수수료 구조 전환 추진

에테나 랩스(Ethena Labs)
3

아발론 랩스, BTC트레저리스넷 기준 비트코인 보유 5위 비공개 기업

아발론 랩스(Avalon Labs)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5

비트코인 전략 비축법 추진 위해 워싱턴 집결한 세일러 등 가상자산 업계 인사들

신시아 루미스 / 뉴욕포스트
6

비트마인·판테라·크립토퀀트·매트릭스포트, 비트코인 전망

비트코인
7

코인베이스 앱스토어 순위 저조, 미국 개인투자자 관망

코인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