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본토·홍콩 증시로 자금 유입 증가… 2018년 이후 최대 규모

리서치 기관 EPFR 글로벌에 따르면 중국 본토와 홍콩 증시로의 자금 유입이 2018년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증가하고 있다.

외국 펀드 매니저들은 최근 4주 동안 중국 본토 주식에 13억 9000만 달러(약 2조 180억 원)를 투자했으며, 홍콩 주식으로의 유입 규모는 21억 6000만 달러(약 3조 1300억 원)에 달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 이후 투자 심리 개선

EPFR의 퀀트 전략 매니저 스티븐 쉔은 “지난 5년 동안 펀드 매니저들이 중국 시장에 대해 이렇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적이 없었다”며, “단기적으로 더 많은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흐름의 주요 요인으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와 경제 정상화를 꼽았다.

EPFR은 전 세계 46조 달러(약 6경 6720조 원) 규모의 자산 흐름을 추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최근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상하이·홍콩 증시 상승세

중국 증시는 지난해의 하락세를 벗어나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상하이 종합지수: 1월 한 달 동안 5% 이상 상승
  • 항셍 지수: 1월 10% 이상 상승하며 3개월 연속 상승세 기록

지난 11월에는 상하이 종합지수가 9% 가까이 급등한 바 있으며, 최근 자금 유입 속도는 2022년 초보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EPFR은 분석했다.

중국 투자 심리 회복… 해외 투자 확대 움직임

자산 관리 회사 하이윈(Hywin)의 최고재무책임자(CFO) 로렌스 록은 “중국의 거시 경제 환경 개선으로 인해 2023년에는 훨씬 더 많은 중국 본토 투자자 자금이 시장으로 다시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지난해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 속에서 중국 투자자들이 위험을 회피하는 전략을 취했으나, 올해는 다시 시장 펀드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하이윈은 2022년 6월 기준 4만 명 이상의 활성 고객과 45억 위안(약 6억 4290만 달러, 약 9300억 원) 규모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중국 이외 지역에 펀드를 보유한 고객을 위해 미국 상장 중국 기업이나 홍콩 주식에 대한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미국 셧다운 종료 후 첫 고용지표 공개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예정

AI 버블 우려에 뉴욕증시 하락…엔비디아·AMD 동반 약세, 비트코인은 반등

블룸버그 “시장 조정 완화…미 증시 선물·비트코인 낙폭 축소”

모건스탠리 “내년 미국 증시, 글로벌 시장 주도 전망…AI 투자 확대가 핵심”

인기뉴스

1

클라우드플레어 글로벌 장애로 X 등 주요 가상자산 서비스 접속 장애

클라우드플레어
2

피델리티, 스테이킹 포함한 솔라나 현물 ETF ‘FSOL’ 출시

솔라나
3

코인원, 아리아 프로토콜(ARIAIP) 코인 퀴즈 이벤트 진행

코인원
4

미국 셧다운 종료 후 첫 고용지표 공개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예정

미국 증시 / 프리픽
5

美 뉴햄프셔주, 1억달러 규모 첫 비트코인 담보 지방채 승인

미국 증시 / 프리픽
6

트럼프家 ‘월드리버티파이낸셜’에 美 민주당 의원들 북한·러시아 연루 의혹 조사 촉구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7

블룸버그 “시장 조정 완화…미 증시 선물·비트코인 낙폭 축소”

미국 증시 / 프리픽
미국 증시 / 프리픽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
비트코인 현물 ETF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차트

이더리움 도미넌스(ETH.D) 차트

알트코인 도미넌스 차트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알트코인 시즌 지수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