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요 둔화·스마트폰 시장 부진이 실적 악화 주원인
삼성전자가 2023년 2분기 영업이익이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7일 발표된 삼성전자의 잠정 실적에 따르면, 4~6월 영업이익은 약 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 약 60조원으로, 전년 대비 22%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 부문, 코로나 이후 수요 급감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반도체 부문에서 큰 폭의 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는 IT기기 수요 증가로 인해 D램 및 낸드플래시 가격이 급등했지만, 이후 수요가 급격히 둔화되며 공급 과잉 현상이 발생했다.
수요 감소로 인해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메모리 제조사들은 생산량을 줄이고 있으며, 이 영향은 2분기 실적에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 부문 부진…애플에 밀려 시장 점유율 하락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부문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론즈는 삼성전자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에 밀려 점유율 2위로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으며, 이 추세는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회복 기대…마이크론 “시장 저점 지났다”
다만 하반기에는 메모리 칩 수요가 일부 회복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메모리 시장이 저점을 지났다고 평가하며, 점진적인 회복세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라디오 프리 모바일의 애널리스트 리처드 윈저는 “이달 말 삼성전자의 정식 실적 발표가 중요하다”며 “삼성전자가 직접적인 개선 신호는 아니더라도, 상황이 더 이상 악화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편, 삼성전자 주가는 금요일 2.4% 하락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