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승인 필요…“역사적 순간” 피해자 보상 확대
12일 CNN에 따르면, JP모건은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과 관련된 피해자들의 집단 소송에서 2억9000만 달러(약 3,688억8000만 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는 법원의 승인을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
JP모건은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엡스타인 및 관련 기업에 금융 서비스를 제공했다. 피해자들은 JP모건이 엡스타인의 자금세탁을 방조함으로써 성매매 범죄를 지속 가능하게 했다고 주장해왔다.
JP모건은 이번 합의에서 법적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양측은 이 합의가 모든 당사자, 특히 엡스타인의 학대로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최선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피해자 측 변호사 데이비드 보이스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100명 이상의 여성이 보상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별도의 엡스타인 피해자 보상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금융기관들과도 유사한 합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이스 실러 플렉스너의 시그리드 맥컬리는 “엡스타인의 성범죄 네트워크와 월스트리트 주요 은행들 사이에 흘러갔던 자금이 이제는 선의를 위한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엡스타인 관련 피해자들은 도이체방크와도 7,500만 달러 규모의 합의를 체결한 바 있으며, 보이스 변호사에 따르면 일부 피해자들은 JP모건 합의 대상과 중복된다.
한편, 금융 범죄와 암호화폐의 연관성도 주목받고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블록체인이 자금세탁, 제재 회피, 테러 자금 조달에 악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암호화폐에 대해 “랜섬웨어 외에는 특별한 가치가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비트코인 거래 중 불법적인 거래 비중은 감소 추세다. 미국 재무부도 자금세탁 수단으로는 여전히 달러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