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PoS 네트워크, ETH 언스테이킹 대기 물량 87만개

출금 대기 시간 15일 4시간
거래소·스테이킹 플랫폼 물량 주도

16일 이더리움 PoS 네트워크 검증자 대기열 추적 사이트 밸리데이터큐에 따르면, 이더리움 지분증명(PoS) 네트워크 출금 대기 규모가 87만3682개로 집계됐다. 현재 시세 기준 약 38억8400만달러(약 5조3900억원) 규모이며, 출금 지연 시간은 15일 4시간으로 나타났다.

활성된 검증자 수는 108만명을 넘어섰고, 네트워크에 스테이킹(예치)된 이더리움은 전체 공급량의 29.45%인 3540만개다.

가상자산 분석가 이그나스는 출금 대기 물량이 리도(28만5000개), 이더파이(13만4000개), 코인베이스(11만3000개) 상위 3개 플랫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움직임이 대규모 차익 실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으나, 최근 이더리움 재무 기업들과 현물 ETF가 상당 부분 매도 압력을 흡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그나스는 특히 향후 출시가 기대되는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의 긍정적 효과를 언급하며, 일부 투자자들이 현금을 회수한 뒤 ETF를 통한 재배치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 기한은 2026년 4월로 설정돼 있으나, 블룸버그 ETF 분석가 제임스 세이퍼트는 승인 시점이 크게 앞당겨져 빠르면 2025년 10월에 가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스트래티직이더리저브 데이터에 따르면, 5월 1일 이후 기업들의 ETH 전략 비축분과 ETF 보유량은 414만개에서 1000만개로 140% 증가했다. 이는 기관이 유통 이더리움 물량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코인텔레그래프

이더리움은 최근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후 4500달러 선까지 조정받았다.

암호화폐 정보 플랫폼 키요타카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는 △4200달러에서 12억달러 규모 롱 포지션 청산 위험 △4100 ~ 3900달러 구간의 피보나치 되돌림(0.5 ~ 0.618) 지지선 여부가 핵심 변수로 꼽힌다.

반대로 기관 매수세가 유지된다면 단기 조정 이후 5000달러 돌파 시도를 이어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11/5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3306억원 순유출

리네아, ETH·LINEA 코인 1:4 비율 동시 소각 메커니즘 출시

블룸버그 “톰 리, 대규모 이더리움 투자 손실…기업 매수 흐름 흔들”

11/4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1900억원 순유출

빗썸, 인튜이션(TRUST) 코인 원화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인튜이션(TRUST)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모스코인(MOC), 이더리움 ERC-20 기반 전환 예정

업비트, 스토리(IP) 코인 보유자 대상 아리아프로토콜(ARIAIP) 에어드랍

인기뉴스

1

블룸버그 “톰 리, 대규모 이더리움 투자 손실…기업 매수 흐름 흔들”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2

비둘기 “비트코인, 하락 속도 느릴수록 전망은 점점 악화”

대릴 왕(Eugene Ng Ah Sio)
3

코인 선물시장, 하루 동안 2.9조원 규모 포지션 청산

4

카이아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결제망 확대” 강조

카이아(KAIA)
5

비트코인 일시적 10만달러 붕괴…6개월 만에 최저, 3조원 규모 청산 발생

코인 이미지
6

스트림 파이낸스, $1억 손실로 출금 서비스 중단…스테이블코인 XUSD 디페깅 70% 하락

7

OKX, 모멘텀(MMT) 코인 현물마켓 상장 예정

OKX 거래소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
비트코인 현물 ETF
코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