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7일 체결, 같은 달 27일 자진 해지
카이토측 KAITO 토큰 출시 후 단 한 차례도 매도 안 해
카이토 AI는 2월 17일 웹3포트와 체결했던 시장조성(MM) 계약을 같은 달 27일 자진 종료한 바 있다고 15일 공지했다.
카이토 AI측은 2월 20일 카이토(KAITO) 토큰 공개(TGE)를 전후해 체결된 여러 시장조성 계약 가운데 하나로, 초기 거래 가격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계약 체결 약 일주일 뒤 웹3포트의 운영 방식이 당초 취지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해 계약을 조기에 종료한 것으로 전했다.
카이토는 해당 조치가 3월에 불거진 웹3포트 관련 부정적 보도 및 거래소 조사가 있기 전 선제적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TGE 이후 카이토 재단은 단 한 차례도 KAITO 토큰을 매도한 적이 없으며, 지속적인 자사 토큰 매입을 통해 유동성을 지원해온 순매수자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5월 2일 웹3포트와 관련해 무브먼트 랩스의 공동 창업자 루시 만체가 직무 정지된 바 있다. 만체는 웹3포트와의 거래를 중개하며 MOVE 토큰을 이용한 시장 조작 의혹을 불러일으켰고, 웹3포트는 이를 통해 확보한 6600만 MOVE 토큰을 대량 매도했다.
해당 사안과 관련해 민간 정보업체 그룸레이크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On February 17, Kaito entered into a market-making agreement with Web3Port and voluntarily terminated the deal on February 27.
— Kaito AI 🌊 (@KaitoAI) May 14, 2025
The agreement was one of several market-making agreements Kaito entered into around the February 20 TGE to support initial trading price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