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12월 3.9조달러 → 현재 2.7조달러…비트코인 점유율은 64%로 상승
가상자산 시장의 전체 시가총액이 2024년 12월 정점에 기록한 3조9000억달러에서 현재 2조7000억달러(약 3960조원) 수준으로 줄었다. 약 4개월 사이 시장 가치의 30%가 증발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시장 하락은 미국과 유럽, 중국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발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3일 ‘해방의 날’이라 명명한 자리에서 대규모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대응해 중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들이 보복 관세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국제 무역을 둘러싼 갈등 격화는 전통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 증시와 함께 디지털 자산 시장 역시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자산군에 걸쳐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조치가 단기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우며 불확실성을 부추기고 있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에 따르면, 이런 혼란 속에서도 비트코인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시세는 일시적으로 7만4600달러까지 하락했으나 현재 7만900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며, 주요 알트코인 대비 낙폭이 제한적이었고 이에 따라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올해 초보다 크게 상승해 현재 약 63.59%를 기록 중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향방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미국과 교역국 간의 무역 정책과 이에 따른 경제지표의 변화, 기업 실적 흐름을 지목하고 있다. 특히 관세 조치가 실제로 시행된 이후 나타나는 글로벌 경기 반응이 투자자 심리를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환경에서 비트코인의 상대적 강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