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027년까지 7조원 투자 계획 발표

KT가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향후 5년간 총 7조 원(약 53억 달러)을 연구개발에 투입할 방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로보틱스, 고객관리, 교육,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 활용을 확대하고, 2025년 말까지 AI 분야에서 매출 1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KT는 업계 주요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하며 AI 생태계 조성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송재호 부사장은 싱가포르 통신사 싱텔(Singtel)과 협업해 최초의 AI 운송 플랫폼을 설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T는 자체 보유한 경험과 인프라,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 중심 AI 서비스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할 수행에도 집중하고 있다.

정부 역시 민간의 AI 기술 개발 속도에 맞춰 규제 정비에 나서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오픈AI CEO 샘 알트만과 회담을 갖고, 안전한 AI 활용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AI 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반도체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으며, 알트만은 한국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확대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언급했다.

KT는 이번 발표에서 기술 투자뿐 아니라 AI 생태계 전반에 걸친 ‘AI 풀 스택’ 개발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AI 반도체,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포함한 다양한 솔루션을 출시하고, 기업 고객의 수요에 부합하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KT는 AI와 로보틱스의 융합에 주목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원격 진료 및 식습관 인식 기능이 탑재된 AI ‘푸드태그’ 솔루션 출시도 예고하고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엔비디아 젠슨 황 “미국, 인공지능 경쟁서 중국 앞서려면 ‘정교함’ 필요”

포브스 “‘탈중앙형 AI’ 카바·비트텐서 등 투명성 앞세워 시장 대응”

AMD, 오픈AI와 수십억달러 규모 인공지능 인프라 계약 체결에 급등

엔비디아, 오픈AI에 $1000억 투자…세계 최대 AI 인프라 구축 추진

트럼프 “시진핑과 회담…중국과 대규모 무역 합의”

레이어제로-업비트 계열 람다256 협력…‘노딧 DVN’ 출시

비둘기 “코인 시장 여전히 ‘지옥 난이도’…거래자들 대거 손실”

이더리움 재단, 기관투자자 대상 사이트 개설해 활용법 제시

인기뉴스

1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90분만에 종료…‘미중 무역협상’ 일부 진전

미국 중국 관세 전쟁
2

코인 선물시장 하루 동안 1조1300억원 규모 청산

3

비둘기 “코인 시장 여전히 ‘지옥 난이도’…거래자들 대거 손실”

바이낸스 선물 탑 트레이더 유진 응 아 시오(Eugene Ng Ah Sio)
4

트럼프 “시진핑과 회담…중국과 대규모 무역 합의”

도널드 트럼프
5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6

美 연준 0.25%p 금리인하…파월 의장 “12월 추가 금리인하, 확정 아냐”

제롬 파월
7

오피셜트럼프 밈코인 발행사, 미국 크라우드펀딩 기업 인수 협상

오피셜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