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 인프라 고도화
PCI 코인 소각 구조
페이프로토콜이 23일 「페이프로토콜 백서 V10」를 공개하고, 글로벌 결제 인프라 확장과 토큰 경제 구조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백서는 핵심 키워드로 △페이체인(PayChain) △스테이블코인 플랫폼 △P2F(Pay-To-Finance) △페이코인(PCI) 토큰 경제 모델을 제시했다.
백서에 따르면, 페이체인은 결제 및 정산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설계된 전용 블록체인으로, 하이퍼레저 기반 메인넷(L1)과 EVM 기반 확장 레이어(L2) 구조로 운영된다. 메인넷은 법적 확정성과 데이터 신뢰성을, 페이체인은 글로벌 결제·스테이블코인 정산·유동성 기능을 담당한다. 가스 추상화(Gas Abstraction), 온체인 거버넌스, 크로스체인 메시징 등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페이프로토콜은 페이체인 위에 스테이블코인 정산 허브를 구축해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한다. 온체인 KYC 상태에 따른 결제 허용·제한, 가스 스폰서십, 멀티체인 오라클 구조를 도입했다.
새로 제시된 ‘P2F(Pay-to-Finance)’ 모델은 결제 행위에 탈중앙 금융(DeFi)을 결합해, 결제 자산을 유동성 풀에 예치해 정산 전까지 운용하고, 발생 수익을 결제자·판매자·프로토콜에 분배하는 구조다.
토큰 모델 측면에서는 결제·송금 수수료의 50%를 소각하고, 재단 보유 물량 8억4400만개(100%)를 락업한다. 향후 2년간 2880만개(3.4%)를 순차적으로 언락하며, 아비트럼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페이프로토콜은 이번 백서를 결제 인프라의 진화와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으로 제시하며, 향후 각 주제별 FAQ 콘텐츠와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