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스왑·NFT 구매까지 적용
앱 업데이트 후 바로 이용 가능
카이아 재단은 19일 카이아 지갑에 ‘가스 추상화(Gas Abstraction, GA)’ 기능을 도입했다고 공지했다. GA는 거래 과정에서 보유 토큰 일부를 자동으로 전환해 가스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설계돼, 카이아(KAIA)를 따로 확보하지 않아도 송금이나 스왑이 가능하다.
카이아 블록체인에서는 모든 거래가 소량의 카이아를 네트워크 수수료로 필요로 하지만, 이용자가 카이아 대신 USDT나 게임 보상 토큰인 보라를 보유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결제가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수수료 결제 방식은 지갑 화면 내 ‘추정 수수료’ 항목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카이아와 지원 토큰을 동시에 보유할 경우 이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지원 토큰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지갑이 자동으로 지정한다.
GA는 송금뿐 아니라 △토큰 간 스왑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NFT 구매 △스테이킹 등 모든 거래 절차에서 적용된다. 출시 단계에서 지원되는 토큰은 USDT와 BORA 두 종류이며, 지원 범위는 확대될 예정이다.
재단은 크롬 확장 프로그램과 애플 앱스토어 버전 업데이트를 마쳤으며, 구글 플레이스토어 업데이트는 곧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