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안보 분야 중심으로 사용 자제 권고
AI 칩 판매 재개에도 中 기업 구매 위축 우려
1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 H20 프로세서의 사용을 피하라는 지침을 현지 기업에 전달했다. 특히 중국 국유기업이나 민간기업이 정부·국가안보 관련 업무에 해당 칩을 활용하지 않도록 강하게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몇 주간 중국 당국은 여러 기업에 공문을 보내 H20 대신 중국산 대안을 검토하도록 요구하고, 엔비디아 칩의 보안성과 안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일부 문서에는 H20를 구매하는 이유, 자국산 칩 대비 필요성, 보안 취약점 발견 여부 등에 대한 질의가 포함됐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는 해당 칩에 위치추적이나 원격차단 기능이 없다고 거듭 부인했다.
이번 조치는 AMD MI308 칩 등 다른 미국산 AI 가속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최근 미국 정부로부터 저성능 AI 칩의 대중 수출 허가를 받았으나,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제공하는 조건이 붙었다. 그러나 중국 기업들은 구매 자체를 자제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어 판매 확대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 당국의 목표는 △서방산 칩 의존 축소 △국산 반도체 산업 육성이다. H20는 고성능 제품 대비 연산 능력은 떨어지지만 메모리 대역폭이 높아 AI 추론 단계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수요를 보여왔다. 그러나 화웨이가 충분한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당국은 규제 불확실성을 활용해 국산 제품이 시장을 흡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H20를 “이미 중국이 다른 형태로 보유한 구식 제품”이라고 평가하며, 화웨이가 동급 이상의 칩을 보유하고 있음을 이유로 판매 재개를 방어했다. 미 정부는 중국 AI 생태계를 덜 진보한 미국 기술에 묶어 두는 것이 화웨이의 매출 확대와 기술 축적을 막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미 상무·재무 당국자들은 반도체 무역 재개가 중국의 희토류 공급 확대와 연계된 거래라고 주장했다. 일례로 H20와 AMD MI308 수출 허가는 지난 7월 말 미·중 간 ‘희토류’ 공급 문제가 해결됐다는 발표 직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