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대형은행, 실물자산 토큰화·커스터디·결제 집중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씨티그룹, JP모건, 골드만삭스, 일본 SBI그룹 등 전통 금융기관들이 전 세계 블록체인 기업에 총 345건의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플이 CB인사이트, 영국 블록체인기술센터와 공동으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중 대부분은 초기 단계 투자였으며,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가 각각 18건으로 가장 많은 투자 건수를 기록했다. JP모건과 미쓰비시UFJ은행은 각각 15건을 집계했다.
투자 가운데 1400억원(약 1억달러) 이상 대형 투자 유치 라운드는 총 33건으로, 주로 △거래 인프라 △토큰화 △자산 커스터디 △결제 솔루션에 집중됐다. 브라질의 결제 기업 클라우드워크는 브라질 이따우은행 등으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7억5000만달러 이상을 조달했고, 독일 솔라리스는 SBI그룹 주도로 1억달러 이상 투자를 받은 뒤 인수 대상으로 전환됐다.
글로벌 시스템적 중요한 은행(G-SIB)들은 106건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에 참여했으며, 이 중 14건은 1억달러 이상 규모였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일본 금융기관이 가장 활발했으며, 싱가포르, 프랑스, 영국 기관들도 다수의 투자에 참여했다. 리플은 전체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가 2020~2024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1만건을 넘었고, 누적 투자 금액은 1000억달러(약 139조원)를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리플이 전 세계 금융 리더 1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0%가 3년 내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이 산업에 ‘중대하거나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법안(GENIUS법), 유럽연합의 가상자산시장법(MiCA) 등 규제 프레임워크 정비도 관련 시장 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또한 씨티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스테이블코인 월간 거래 규모는 6500억~7000억달러에 달하며, 점점 더 많은 은행들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변동성 노출 없이 프로그래머블 머니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전망과 관련해 리플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실물자산 기반 토큰화 시장 규모가 2033년까지 18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53%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