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JP모건·골드만삭스 등, 블록체인 스타트업 345건 투자

글로벌 대형은행, 실물자산 토큰화·커스터디·결제 집중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씨티그룹, JP모건, 골드만삭스, 일본 SBI그룹 등 전통 금융기관들이 전 세계 블록체인 기업에 총 345건의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플이 CB인사이트, 영국 블록체인기술센터와 공동으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중 대부분은 초기 단계 투자였으며,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가 각각 18건으로 가장 많은 투자 건수를 기록했다. JP모건과 미쓰비시UFJ은행은 각각 15건을 집계했다.

투자 가운데 1400억원(약 1억달러) 이상 대형 투자 유치 라운드는 총 33건으로, 주로 △거래 인프라 △토큰화 △자산 커스터디 △결제 솔루션에 집중됐다. 브라질의 결제 기업 클라우드워크는 브라질 이따우은행 등으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7억5000만달러 이상을 조달했고, 독일 솔라리스는 SBI그룹 주도로 1억달러 이상 투자를 받은 뒤 인수 대상으로 전환됐다.

글로벌 시스템적 중요한 은행(G-SIB)들은 106건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에 참여했으며, 이 중 14건은 1억달러 이상 규모였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일본 금융기관이 가장 활발했으며, 싱가포르, 프랑스, 영국 기관들도 다수의 투자에 참여했다. 리플은 전체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가 2020~2024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1만건을 넘었고, 누적 투자 금액은 1000억달러(약 139조원)를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리플이 전 세계 금융 리더 1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0%가 3년 내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이 산업에 ‘중대하거나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법안(GENIUS법), 유럽연합의 가상자산시장법(MiCA) 등 규제 프레임워크 정비도 관련 시장 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또한 씨티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스테이블코인 월간 거래 규모는 6500억~7000억달러에 달하며, 점점 더 많은 은행들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변동성 노출 없이 프로그래머블 머니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전망과 관련해 리플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실물자산 기반 토큰화 시장 규모가 2033년까지 18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53%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블룸버그 “크립토 기업들, 취약한 시장서 자금 조달 확대”

미국 성인 14% “가상자산 보유”…투자 계획 ‘없다’ 60%

샤프링크·비트마인·비트디지털·BTCS, ‘이더리움판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부상

글로벌 코인 거래소 점유율…바이낸스·OKX·바이비트 상위권 유지

국내 은행, 가상자산 제도화 앞두고 사업 준비

카이아,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 출원

트럼프미디어, ‘트루스’ 생태계 유틸리티 토큰 공식화

홍콩, RWA 등록·신고 플랫폼 8월 7일 출범

디지털자산 헤드라인

글로벌 경제

주간 거시경제 주요일정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미국 비트코인 이미지

트럼프발 美관세·고용 데이터에 비트코인 지지선 테스트

미국 비트코인

CFTC, 美 ‘가상자산 허브’ 추진

인기뉴스

1

“중국, 가상자산 거래·채굴 전면 금지” 루머 확산…당국 발표 없었다

중국
2

아서 헤이즈, 보유 가장자산 매도 후 비트코인·이더리움 조정 전망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3

월가, 가상자산 조용히 매집중…톰 리 “비트 $25만·이더 $1.5만 전망”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4

中 루비안 채굴풀서 2020년 비트코인 12.7만개 해킹 피해…아캄 “최대 규모”

해커
5

에릭 트럼프 “저점 매수 기회 $BTC $ETH” 트윗

에릭 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