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4.25~4.50%로 유지
올해 첫 경기 둔화 표현
월러·보우먼 2명 금리 인하 주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경기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도 함께 내놨다.
30일(현지시간)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위원 11명 중 9명이 찬성했으며, 크리스토퍼 월러와 미셸 보우먼 이사는 0.2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했다.
성명에서 연준은 미국 경제에 대해 “최근 지표는 상반기 경제 활동의 성장세가 완만해졌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직전 회의에서는 “견조한 성장세”라는 표현을 사용했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소비 지출 둔화가 성장 둔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밝혔다. 다만 “경제가 금리 수준 때문에 부적절하게 억제되고 있다는 신호는 거의 없다”며 9월 인하 전망에는 선을 그었다. “9월에 대한 어떤 결정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강하게 금리 인하를 압박해온 가운데 열린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의 직전 “9월엔 금리를 내릴 것”이라며 연준의 속도 조절을 비판한 바 있다.
연준은 고용 시장에 대해선 “견조하다”, 인플레이션은 “다소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화됐다”는 표현은 삭제하고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다”는 진단을 반복했다.
월러와 보우먼의 반대는 1993년 이후 연준 이사진 중 2명이 동시에 반대표를 던진 첫 사례다. 앞서 월러는 3월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 속도 조절에 반대했고, 보우먼은 지난해 9월 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 결정에 반대하며 0.25%포인트 인하를 주장했다.
같은 날 발표된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연율 기준 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분기에는 -0.5%를 기록했었다. 2분기 반등은 1분기 관세를 앞둔 수입 선적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 지출 증가율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관세의 직접적인 물가·고용 영향은 아직 뚜렷하지 않지만, 완구·의류·전자제품 등 관세가 부과된 일부 품목 가격은 뛰었다. 실업률은 4.1%로 하락했는데, 이는 불법 이민 억제 정책으로 노동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라는 분석도 있다.
월러 이사는 “민간 고용 증가세가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그가 인하를 주장한 배경이기도 하다. 지난 6월 점도표에 따르면, 연내 세 차례 인하를 전망한 위원 2명을 포함해 10명이 인하를 예상한 바 있다.
시장은 이날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게 봤었으며, 9월 인하 가능성은 약 60% 수준으로 반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