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고래 매도·기관 매수’ 시장 변곡점 맞나

오랜 고래 보유자 매도, ETF 등 기관이 매수
고래 50만개 매각, 기관 90만개 순매수
변동성 축소, 자산 성격 변화

비트코인 시장에서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와 기관 투자자의 매수가 맞물리며, 시장 권력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전체 시가총액 약 2조1000억달러(약 2856조원) 규모의 시장에서 익명 고래들이 내놓은 물량을 상장지수펀드(ETF), 기업, 자산운용사들이 받아내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4일 블룸버그통신은 10x리서치를 인용해 지난 1년간 초기 보유자, 채굴업체, 역외 펀드 등 고래 투자자들이 내놓은 비트코인은 50만개 이상으로, 현재 가격 기준 약 500억달러(약 68조원) 규모다. 같은 기간 미국 ETF 시장의 순유입 규모와 맞먹는 수준이다. 5년간 비트코인을 집중 매입해온 마이클 세일러의 ‘스트래터지’ 보유액(650억달러)에도 근접한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고래는 단순 매도 외에도 장외거래를 통해 비트코인을 주식 관련 자산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보유량을 줄이고 있다. 파라택시스캐피털 공동 창업자 에드워드 친은 “BTC를 현금화하지 않고 주식 금융거래 형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관 투자자는 1년간 약 90만개의 비트코인을 흡수했다. ETF, 기업 재무 전략, 자산운용사 등이 포함되며, 이들이 보유한 총량은 약 480만개로 전체 유통량(약 2000만개)의 4분의 1에 달한다.

2020년만 해도 블록체인상 추적 가능한 전체 익명 지갑 중 상위 2%가 전체 물량의 95%를 보유했던 것과 비교하면, 시장 지배 구조의 변화 속도가 빠르다. 암호화폐 전문 기업 DRW의 관계 관리 책임자 롭 스트레벨은 “비트코인이 점차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 잡으며 변동성이 줄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변동성은 뚜렷이 낮아졌다. 파생상품 거래소 데리빗의 비트코인 변동성 지수에 따르면 향후 30일간 연환산 기준 기대 변동성은 최근 2년 중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아메리칸대 워싱턴 로스쿨의 힐러리 앨런 교수는 “기관이 유동성을 제공해주는 동안 고래들이 빠져나가는 구조”라며 “결국 개인과 연금 투자자가 부담을 떠안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비트코인은 2년 연속 두 배 이상 상승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11만달러 안팎에서 박스권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 암호화폐 행보에도 가격은 연초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기관 유입과 함께 비트코인의 자산 성격도 변화하고 있다. 아르카의 최고투자책임자 제프 도먼은 “비트코인은 고배당 주식처럼 점점 보수적인 자산으로 바뀌고 있다”며 “연 10~20% 수준의 상승률이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시장의 균형이 깨질 경우 급락 가능성도 존재한다. 10x리서치에 따르면 과거 2018년과 2022년 각각 2%, 9%의 순유출이 발생했을 때 비트코인은 각각 74%, 64% 하락한 바 있다.

비트코인 채굴기업 마라홀딩스의 최고경영자 프레드 틸은 “우리는 시장 고점 근처에 있다”면서도 “다만 지금은 과거와 다른 역학이 작동하는 시장”이라고 말했다.

10x리서치 최고경영자 마르쿠스 틸렌은 “지금의 시장 구조는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며 “이제 비트코인은 점진적인 상승을 추구하는 자산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14년간 잠든 비트코인 고래 지갑, 1만 BTC 이체

7/4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8200억원 순유입

7/3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5545억원 순유입

나스닥 상장사 애덴택스, 1조8000억원 규모 비트코인 인수 추진

14년간 잠든 비트코인 고래 지갑, 1만 BTC 이체

바이낸스, BULLA·IDOL 코인 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빗썸, 스트라이크(STRIKE) 코인 거래유의종목 지정

트럼프 “10~12개국에 서한 보낼 계획…8월부터 10~70% 관세 거론”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미국 공화당, 공식적으로 가상화폐 지지선언

트럼프 “10~12개국에 서한 보낼 계획…8월부터 10~70% 관세 거론”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코인 이미지

코인시장 규제 완화 기대감, 한때 비트코인 11만달러 재돌파

크립토 고래

비트코인, ‘고래 매도·기관 매수’ 시장 변곡점 맞나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하원 통과…5일 서명 예정

인기뉴스

1

美 하원, 7월 셋째 주 ‘가상자산 3대 법안’ 일괄 심의 예고

미국 비트코인
2

업비트, 무뎅(MOODENG)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3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업계별 희비 엇갈려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5

미 하원, ‘빅 뷰티풀 법안’ 최종 표결 예정

미국 월스트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