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슈왑, 주가 39% 하락 속 리스크 관리 강화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금융 대기업 찰스 슈왑(Charles Schwab Corp.)은 금리 관련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약 39억 달러(약 5조 6,550억 원) 규모의 파생상품을 활용하기 시작했다고 8일(현지시간) 규제 문서를 통해 밝혔다. 해당 파생상품 운용은 올해 3월 말까지 진행됐다.

슈왑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수십 년 만에 가장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보이면서 금리 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텍사스주 웨스트레이크에 본사를 둔 슈왑은 금리 상승에 따라 중개업과 은행 사업 모두에서 손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에는 미국 지역 은행들이 금리 변동에 직면한 가운데, 슈왑도 보유 중인 증권 자산의 장부 손실이 급증했다. 아울러 고객들이 더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계좌로 자금을 이동시키면서 예금 유출 현상도 발생했다. 경영진은 해당 유출이 점차 완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슈왑은 금리 위험을 헤지하기 위한 조치로 파생상품 전략을 도입했으며, 이를 통해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찰스 슈왑의 주가는 지난 3월 이후 약 39% 하락했다. 금융시장 불안과 금리 환경 변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슈왑의 이번 헤지 전략은 경영 안정성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찰스 슈왑 로고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찰스슈왑 CEO “향후 12개월내 가상자산 현물 거래 서비스 출시 가능성 높아”

찰스 슈왑, 디지털자산 책임자 직책 신설… 코인 현물거래 서비스 도입 전망

금융 대기업 ‘찰스 슈왑’ 미국 고객에 직접 암호화폐 투자 제공 계획

찰스 슈왑 “연준, 올해 하반기 2~3 차례 금리 인하 예상”

상장사, 상반기 비트코인 24만5510개 매입…ETF의 두 배

7/2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4655억원 순유출

맨틀, 아시아서 ‘온체인 네오뱅크’ 7월말 출시 예정

美 애리조나 주지사, 범죄 몰수 비트코인 비축 법안 거부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비트코인

상장사, 상반기 비트코인 24만5510개 매입…ETF의 두 배

코인 이미지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제롬 파월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미국 공화당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2

7월 코인 · 거시경제 일정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4

트럼프, 머스크 정조준…”보조금 없었으면 사업 접었을 것”

5

머스크 “빅뷰티풀 법안 통과 시 ‘아메리카당’ 신규 창당”

일론 머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