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포함 20여개국 대상
소규모 국가도 포함해 선례 쌓기
중국·EU 등은 별도 트랙 진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약 20개국을 대상으로 관세 협상에 착수했다. 미국의 무역적자 축소를 목표로, 주요 수출국뿐 아니라 경제 규모가 작은 국가들도 협상 대상에 포함됐다.
블룸버그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의원들에게 협상 대상국 명단을 공유했으며, 일본·한국·베트남 등 주요 수입국뿐 아니라 피지·레소토·모리셔스 등 소규모 경제권도 포함됐다고 10일 보도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총 18개국을 우선 협상 대상으로 언급했으나 구체적인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이러한 협상이 다른 국가들과의 신속한 합의 체결을 위한 ‘모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은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보다 빠르게 전개할 수 있도록 협상 틀을 제시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협상 대상국에는 ▲한국 ▲일본 ▲중국 ▲영국 ▲인도 ▲스위스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이스라엘 ▲에콰도르 ▲캄보디아 ▲아르헨티나 ▲호주 ▲마다가스카르 등도 포함돼 있다. 베센트 장관은 아르헨티나를 ‘우선 순위 국가’로 지목했다.
특히 레소토처럼 경제 규모가 작고 미국과의 무역 비중이 낮은 국가들까지 포함된 점은, 협상이 용이한 국가와의 신속한 합의를 통해 사례를 축적하고 이를 다른 협상에 활용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부 국가는 자국 콘텐츠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며 미국 측에 유예나 예외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중국과의 협상은 별도 트랙으로 진행된다. 베센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는 이번 주말 중국 측과 첫 회담을 시작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부과 중인 145%의 관세를 80%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EU와의 협상도 진행 중이며, 그리어 대표는 캄보디아·마다가스카르·베트남 등 일부 국가가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공화당 의원들과의 비공개 회의에서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모든 협상을 7월 이전 타결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발표가 늦어질 경우 관세 유예 기간이 종료되므로 조속한 결론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영화·철강 등 특정 산업에 대해 최고 100%까지의 관세를 경고한 바 있어, 개별 국가들이 받는 압박 수위는 각기 다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