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기준금리 동결…파월 “트럼프의 금리인하 요구, 영향 없어”

기준금리 4.25~4.5% 유지
관세 인플레이션 우려
경제 여건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

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했다. 지난해 말 이후 3차례 인하한 뒤 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연준은 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발표한 성명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이중 목표를 고려할 때, 실업률과 물가 상승 위험이 모두 커졌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 인상이 지속되면 물가 상승, 경기 둔화, 실업 증가가 동반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에 대해 공개적으로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으나, 연준은 정치적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미국의 관세 인상 움직임이 예상보다 크다고 평가했다. 그는 “대폭적인 관세 인상이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은 더욱 상승하고 고용은 줄어들 것”이라며, 이러한 상황이 이어지면 연준의 목표 달성 시점은 내년 이후로 늦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 시점에서는 어느 쪽이 더 우선 과제인지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며,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모두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관망적 스탠스를 유지하며, 상황 변화가 감지될 경우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나는 대통령과의 만남을 요청한 적이 없다”며 “앞으로도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연준 전 부의장 리처드 클라리다는 시장이 향후 경기침체 가능성을 40~50% 수준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금리선물 시장은 7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라자산운용의 매튜 팔라이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연준이 확실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전까지는 경기침체 위험을 감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미 달러지수, 1973년 이후 상반기 최대 하락폭 기록

골드만삭스 “시장, 미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높아”

뉴욕증시 상장사 DDC,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위해 7600억원 확보

플룸, 스테이블코인 ‘USD1’ 채택…pUSD 준비금 활용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이더리움 커뮤니티 재단’ 출범…“ETH 소각효과 있는 프로젝트만 지원”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코인 이미지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제롬 파월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미국 공화당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그레이스케일

美 SEC, 그레이스케일 ‘BTC·ETH·XRP·SOL·ADA 혼합형 암호화폐 펀드’ ETF 전환 승인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2

7월 코인 · 거시경제 일정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4

트럼프, 머스크 정조준…”보조금 없었으면 사업 접었을 것”

5

머스크 “빅뷰티풀 법안 통과 시 ‘아메리카당’ 신규 창당”

일론 머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