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트레이딩 기업 타워리서치캐피털 산하 ‘라임스톤’, 가상자산 거래 확대

트럼프 친화 발언 이후 가상자산 시장 기관 수요 회복중
월가 대형사 간 경쟁 심화

미국 고빈도 트레이딩 기업 타워리서치캐피털 산하 퀀트 그룹 ‘라임스톤 트레이딩’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암호화폐 지지 이후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되살아나면서다.

5일 블룸버그는 사안에 정통한 복수 인사를 인용해, 라임스톤이 암호화폐 트레이딩 부문에 대한 자본 배분을 늘리고 있으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서의 시장조성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인프라 업그레이드에도 나섰다고 전했다.

라임스톤은 머신러닝 기반의 자산운용 전략을 구사하는 내부 퀀트 그룹 중 하나로, 현재는 타워리서치 내 디지털 자산 시장조성의 주력 그룹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 런던, 싱가포르, 인도 구루그람에 걸쳐 50명 이상 인력을 두고 있다.

타워리서치는 탈중앙화된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각 팀은 자율적으로 운용된다. 라임스톤은 주요 거래소를 중심으로 차익거래, 스프레드 트레이딩, 시장조성 전략 등을 수행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다만, 정확한 자본 배분 규모나 인력 확충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다.

타워리서치는 2022년 FTX 및 알라메다리서치 파산, 바이낸스의 43억달러(약 6조원) 규모의 미국 규제당국과의 합의 이후 암호화폐 부문을 축소한 바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 ETF 승인과 트럼프 대통령의 업계 지지 발언 이후 암호화폐 시장 유동성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시장 참여를 재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데이터 제공업체 카이코에 따르면 시장 깊이는 FTX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경쟁도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씨타델시큐리티즈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크립토닷컴 등 주요 거래소에서 시장조성자로 참여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인스트리트는 2017년부터 암호화폐 거래에 참여하고 있으며, 점프트레이딩도 별도 암호화폐 부서를 두고 시장조성 사업을 전개 중이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1

마스크, X닉네임 ‘gorklon rust’로 변경후 밈코인 ‘GORK’ 급등

2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 뉴스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오피셜트럼프 코인 질문에 “대통령직으로 이익 본 적 없어”

트럼프
4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가 매수 암시

마이클 세일러
5

인도네시아 당국, 월드코인 운영 허가 중단

월드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