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와 유럽 측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미국 측 제안에 일부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로이터가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한 문건에 따르면, 영토, 제재, 안보 보장, 우크라이나 군 규모 등 핵심 사안을 둘러싼 이견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문서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 하에 4월 17일 파리와 23일 런던에서 진행된 미·유럽·우크라이나 당국자 간 협상 내용을 담고 있다고 전했다.
두 문건 중 첫 번째는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파리 회담에서 유럽 측에 전달한 제안이며, 두 번째는 런던 회담 이후 우크라이나와 유럽 측이 작성해 미국에 전달한 문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속한 전쟁 종식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런던 회담 후 작성된 문서가 현재 트럼프 대통령 책상 위에 올라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주요 쟁점별 입장 차이
1. 영토 문제
위트코프 문서에는 미국이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을 공식 인정하고, 남부 및 동부 지역에 대한 사실상 통제도 인정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반면 유럽-우크라이나 측은 휴전 이후 영토 문제에 대한 논의를 연기하며 러시아의 점령지 인정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2. 안보 보장
미국 측 문서에는 유럽과 우방국들이 보장하는 ‘강력한 안보 보장’이 명시됐으나, 세부 내용은 빠져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반면 우크라이나-유럽은 나토 제5조에 준하는 미국의 안보 보장 및 우크라이나 영토 내 동맹국 군대 주둔에 대한 제한이 없다고 명확히 명시했다.
3. 대러 제재
위트코프 문서에는 2014년 크림반도 합병 이후 시행된 대러 제재를 협상 타결 시 해제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유럽-우크라이나 측은 평화가 지속된 이후 점진적 제재 해제를 제안하며, 합의 위반 시 제재를 재도입할 수 있도록 했다.
4. 전쟁 피해 보상
우크라이나-유럽 측은 해외에 동결된 러시아 자산을 활용한 전후 보상을 명시했다. 반면 위트코프 문서에는 단순히 재정적 보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언급만 있다.
이번 협상 문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5분의 1을 점령하고 있는 가운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장 적극적인 외교적 조율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인테르팍스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현지시간으로 25일 오전 모스크바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앞서 CNN 등 미국 매체들은 위트코프 특사가 25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면담하고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논의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