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A 리서치 베레진 “소비 위축·실적 하락 불가피…미국 경제 하강 사이클 진입”
4월 10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0일간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발표하며 시장은 급반등했지만, BCA 리서치의 글로벌 수석 전략가 피터 베레진은 “경기 침체는 이미 이번 달부터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베레진은 2024년 말 트럼프 행정부가 글로벌 무역전쟁을 촉발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이는 2025년 들어 주가 하락과 시장 불안으로 이어지며 현실화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루 뒤 돌연 기존 정책을 일부 완화하며 대부분의 국가를 대상으로 90일 관세 유예를 선언했지만, 중국은 예외로 남겨뒀다. 베레진은 “10% 일괄 관세가 여전히 유지되고, 중국에 대한 관세는 오히려 강화된 상황”이라며, 유예 조치만으로 경기 침체를 피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미국 고용지표와 기업 실적은 겉으로는 양호해 보이지만, 베레진은 “작년 말 소비자와 기업들이 관세 인상을 우려해 미리 물품을 대량 구매하면서 일시적인 실적 호조가 나타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반대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관세 인하나 정책 변경을 기대하며 지출을 미루는 ‘관세 대기(front-waiting)’ 국면으로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UBS 글로벌자산운용 역시 앞서 “특정 산업에서는 관세에 앞서 미리 구매한 수요가 실적에 반영되며 시장의 회의론을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소비·투자 위축 → 고용 악화 → 악순환 진입 경고
베레진은 이 같은 소비 위축이 향후 분기 실적 하락과 시장의 눈높이 하향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투자 축소 및 고용 악화로 연결돼 미국 경제 전반에 하방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실업률이 오르기 시작하면 이를 되돌리기는 매우 어렵다”며,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를 적극 인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경기 대응 여력도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관세 전략, 목적 모호하고 상충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기 협상 도구에서부터 제조업 회귀 및 재정 확보 수단 등 다양한 목표를 제시해왔지만, 베레진은 이 같은 방향성의 혼재가 정책의 일관성을 해친다고 평가했다. 그는 “관세가 정부 수입을 위한 상시 도구라면 기업 유턴을 유도하기 어렵고, 기업이 미국으로 돌아오게 하려면 수입물가가 올라야 한다”며, 정책 논리 자체가 서로 충돌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트럼프가 무역적자 해소를 주장하는 데 대해 “미국은 이미 완전고용 상태이며, 적자가 사라지면 생산성이 낮은 산업으로 노동이 재배치돼 오히려 전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안심할 수 없다”
베레진은 본인의 침체 예측이 현재로선 맞아떨어지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또다시 정책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예단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에서 너무 일찍 승리를 선언하면 금세 반대 상황이 올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