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간 운영비 830만달러, 현금 잔고 240만달러… 운영 지속 시한 2025년 7월
4월 3일,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트레저다오(Treasure DAO)의 리더 존(John)은 영상을 통해 재정난으로 인해 조직 구조를 재편하고 게임 운영과 자체 개발 체인 ‘트레저 체인(Treasure Chain)’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트레저다오는 연간 운영비가 830만달러(약 120억원)에 달했으며, 현재 보유 중인 자금은 240만달러(약 34억원)에 불과해, 오는 2025년 7월까지만 운영이 가능한 상황이다. 팀 규모는 최대 40명으로, 인건비가 연간 610만달러(약 88억원), 인프라 비용이 300만달러(약 43억원)다. 이 중 트레저 체인의 연간 고정 비용은 45만달러(약 6억500만원)로 집계됐다.
존은 다시 리더 역할을 맡아 생존을 위한 구조 조정을 단행했으며, 인력 15명을 감축하고 게임 출시 지원 및 트레저 체인 운영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파트너 프로젝트들이 타 체인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자금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존은 유휴 자금 78만5000달러(약 11억원)를 마켓메이커 플로우데스크(Flowdesk)에서 회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해당 제안이 승인될 경우, 트레저다오의 스테이블코인 보유액은 320만달러(약 46억원)로 증가하며, 운영 가능 기간은 2026년 2월까지로 연장된다.
한편, 생태계 펀드는 매직(MAGIC) 2230만개(약 230만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지만, MAGIC 시세가 급락할 경우 오는 12월부터 내년 2월 사이 재정난이 다시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향후 전략은 마켓플레이스, 브리지월드(Bridgeworld), 스몰월드(Smolworld), 인공지능 에이전트 확장 기술 등 네 가지 주요 제품군에 집중된다. 트레저다오는 스몰즈(Smols)와 브리지월드를 통해 MAGIC의 활용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신제품 ‘뉴로침프(Neurochimp)’ 에이전트를 개발해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커뮤니티 콜과 함께 체인 종료, 시장 포지셔닝 조정 등을 포함한 거버넌스 제안도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다. 트레저다오는 조직을 간소화해 현재 상황을 반전시키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매직(MAGIC) 토큰은 24시간 기준 10% 하락한 0.09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The Next Chapter of Treasure ✨
— Treasure (@Treasure_DAO) April 2, 2025
We're releasing an official statement on our pivotal transition, outlining the rationale behind leadership changes, financial restructuring, and our bold new strategic direction.
Full details 👇 pic.twitter.com/BjWgZxc98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