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래시 론 공격 후 반환 협상 성사…전체 피해액의 90% 이상 환수
3월 13일,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오일러 파이낸스(Euler Finance)는 플래시 론 공격으로 1억 9,700만 달러(약 2,610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탈취당하는 사건을 겪었다. 하지만 공격 약 3주 만에 해커가 대부분의 자금을 반환하며, 디파이(DeFi) 역사상 보기 드문 ‘성공적인 복구’ 사례로 남게 됐다.
오일러 파이낸스는 해킹 직후 탈취 자금의 10%를 수수료로 제공할 테니 나머지를 반환하라는 제안을 해커에게 전달했다. 이후 협상이 지속되던 중, 4월 3일 오후 6시 55분경, 해커는 세 건의 트랜잭션을 통해 총 3,100만 달러를 추가 반환했다. 이로써 반환된 자금 총액은 1억 7,700만 달러 이상, 전체 피해액의 90%를 초과했다.
오일러 파이낸스는 공식 성명을 통해 “성공적인 협상에 따라 3월 13일 오일러 프로토콜에서 회수 가능한 모든 자금이 착취자에 의해 성공적으로 반환됐다”고 밝혔다.
드문 사례…디파이 복구 모델 제시
디파이 업계에서는 플래시 론 공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피해 자산이 자발적으로 반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번 사건은 오일러 파이낸스가 협상을 통해 문제 해결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사례를 통해 향후 유사한 해킹 사태 발생 시, 프로젝트들이 피해 복구를 위한 협상 전략을 참고할 수 있는 모델이 마련됐다고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