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비트, 해킹된 가상자산 중 77% 여전히 추적 가능

  • 바이비트 해킹 피해 규모 14억 달러(50만 ETH)
  • 77% 추적 가능, 20%는 ‘다크머니’, 3%는 동결
  • 해커, 토르체인을 통해 9억 달러 상당 자금 세탁, 여전히 추적 가능
  • 11개 기관 협력해 추적 중, 추적 기관에 총 31억 원 규모 현상금 지급
  • 향후 1~2주가 자금 세탁 후 출금 가능성 높아

4일 바이비트 공동 창립자 벤 저우는 해킹된 총 14억 달러(약 2조 300억 원) 상당의 50만 이더리움(ETH) 중중 77%는 여전히 추적 가능하다고 밝혔다.

바이비트에 따르면, 해킹된 가상자산에 대한 추적상황은 다음과 같다.

  • 77%는 여전히 추적 가능
  • 20%는 추적이 불가능한 ‘다크머니’로 전환
  • 3%는 거래소 협력을 통해 동결

세부적으로 해커들은 83%(41만 7,348 ETH)를 6,954개 지갑을 이용해 비트코인(BTC)으로 변환했으며, 개별 지갑당 평균 1.71 BTC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2%(36만 1,255 ETH)는 탈중앙화 거래 네트워크인 토르체인을 통해 이더리움을 비트코인으로 변환했으며, 해당 자금은 여전히 추적이 가능하다. 반면, 16%(7만 9,655 ETH)는 익명성을 강화하는 플랫폼을 통해 ‘다크머니’로 전환돼 추적이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해커들은 OKX 웹3 프록시를 이용해 4만 233 ETH를 전송했으며, 이 중 1만 6,680 ETH는 추적이 가능하지만 2만 3,553 ETH(약 5%)는 아직까지 확인이 어렵다고 밝혔다.

바이비트 측은 OKX 측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바이비트, 11개 기관과 협력해 추적 중

현재까지 바이비트는 11개 기관과 협력해 해킹 자금 동결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가장 큰 기여를 한 3개 기관은 맨틀, 파라스왑, 잭XBT로 확인됐다.

바이비트는 이들에게 총 217만 8,797 USDT(약 31억 5,000만 원)의 현상금을 지급했다고 발표했다.

바이비트는 이번 주와 다음 주가 해킹 자금이 장외 거래(OTC) 및 개인 간 거래(P2P) 시장을 통해 본격적으로 거래소에서 출금될 가능성이 높은 중요한 시기라며, 추가적인 자금 동결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바이비트, 서클·코인베이스·로빈후드·엔비디아·테슬라 포함 토큰화 주식 10종 상장 예정

바이비트, 바이리얼 플랫폼서 프래그메트릭(FRAG) 코인 첫 IDO 진행

바이리얼, ‘리셋 론치’ IDO 플랫폼 공개…프래그매트릭 첫 선정

코인마켓캡, ‘지갑 인증’ 유도하는 악성 팝업 발생…조사 진행중

빗썸, 메이플 파이낸스(SYRUP)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카이아, 인도네시아 중소기업에 블록체인 기반 대출 지원

유엑스링크 코인, BNB 체인으로 일부 공급량 이전 투표 진행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코인 이미지

로이터 “美 SEC, 신규 암호화폐 현물 ETF 승인 ‘이르면 초가을’” 전망

스트래티지(MSTR)

스트래티지, 42억달러 규모 우선주 발행 계획 발표

스트래티지(MSTR)

스트래티지, 3개월 만에 첫 매수 중단…“지금은 HODL할 때”

인기뉴스

1

코인원, 멀린체인(MERL) 퀴즈 이벤트 진행

코인원
2

플룸, 트론 협력…실물자산 수익 서비스 제공

플룸 네트워크(Plume Network)
3

밈코인 오피셜트럼프 x 트론 어나운스먼트 예고

오피셜트럼프
4

머스크 “아메리카당, 비트코인 수용”

일론 머스크 비트코인 이미지
5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