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릭 부테린 “공공재보다 오픈소스 중심 접근이 이더리움에 적합”

비탈릭 부테린이 3월 29일 공개한 기고문에서 이더리움 생태계에 있어 공공재 자금지원 방식보다 오픈소스를 중심으로 한 접근법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부테린은 ‘공공재(public goods)’라는 용어가 종종 정부 주도의 자금지원과 연관되며 오해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상업적 성격의 프로젝트들이 공공재라는 명목으로 자금을 확보하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픈소스가 기술적 기준과 공개된 코드 기반이라는 명확한 요소를 갖고 있어, 자체적으로 공공 가치를 입증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기존의 공공재 자금지원 방식은 평가 기준이 모호해 내부자들이 개념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이득을 취하는 ‘사회적 게임’에 악용될 소지가 높다고 우려했다. 반면 오픈소스는 코드의 투명성과 참여의 개방성에 기반해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어, 자금지원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부테린은 이 같은 오픈소스 원칙이 디지털 영역을 넘어 청정에너지 기술, 분산형 농업 기술 등 물리적 인프라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표준화된 협업 모델이 전 세계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10/30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1135억원 순유출

10/29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3421억원 순유입

비트마인, 2만7316개 이더리움 추매 추정

이더리움 ‘후사카’ 업그레이드, 메인넷 출시 전 마지막 테스트 완료

메타마스크 개발사 ‘컨센시스’ IPO 준비

업비트, APEC CEO 서밋서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 주최

10/30 미국 솔라나 현물 ETF: 671억원 순유입

10/30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1135억원 순유출

인기뉴스

1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2

트럼프 “중국산 펜타닐 관세 인하 검토…희토류 협의 중”

미국 공화당, 공식적으로 가상화폐 지지선언
3

바이낸스, 카이트 AI(KITE) 코인 사전-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예정

바이낸스
4

美 연준 금리발표 임박…시장, 이번엔 인하 폭보다 횟수·속도 주목

미국 증시 / 프리픽
5

바이낸스, 플라밍고(FLM)·카데나(KDA)·퍼페추얼(PERP) 코인 현물마켓 상장폐지 예정

바이낸스
6

업비트, 엔소(ENSO)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7

그레이스케일 솔라나 현물 스테이킹 ETF,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예정

솔라나
이더리움 ETF
비트코인 현물 ETF
제롬 파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