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NFT 플랫폼 ‘아트랩’ 종료…NFT 시장 침체로 서비스 철수 흐름

  • 6월 17일 최종 종료…NFT 전송은 4월 말까지 자동 처리

LG전자가 2022년부터 운영해 온 대체불가능토큰(NFT) 플랫폼 ‘LG 아트랩’의 서비스를 종료한다. NFT 시장의 침체 속에 주요 기업들의 플랫폼 철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LG 역시 유사한 행보를 보였다.

LG 아트랩은 3월 21일 공식 안내를 통해 “심사숙고 끝에 플랫폼 종료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시점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LG 아트랩은 2022년 9월 출범 이후 사용자가 LG 스마트 TV를 통해 NFT를 감상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또한 조각가 배리 엑스 볼(Barry X Ball)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아티스트들과 협업해 콘텐츠를 확장했다.

LG는 오는 4월 말까지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NFT를 사용자 지갑으로 자동 반환할 예정이며, 플랫폼은 6월 17일부로 완전히 종료된다.

업계 전반에서 확산되는 NFT 서비스 철수

LG의 이번 결정은 NFT 시장 전반의 하향세와 맞물려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은 지난 2월 NFT 마켓플레이스를 폐쇄했으며, 나이키가 인수한 착용형 NFT 스타트업 알티팩트(RTFKT)도 지난해 12월 운영을 중단했다.

NFT는 디지털 자산과 창작물의 소유권을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2020년대 초반 급성장했다. 대표 컬렉션으로는 크립토펑크, 보어드 에이프 요트 클럽(Bored Ape Yacht Club), 퍼지 펭귄즈(Pudgy Penguins) 등이 있다.

그러나 시장은 2021년 8월 주간 거래량 32억4000만달러에서 최근 1억달러 미만 수준으로 급감한 상태다. NFT 플랫폼 폐쇄는 이런 흐름에 따른 사업조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오픈씨, NFT 침체 후 ‘멀티체인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으로 전환

이더리움 강세에 NFT 시장 규모 $93억 돌파…7월 대비 40%↑

미 법원, 유가랩스 소송서 “NFT도 상표 보호 대상”

유가랩스 창립자, NFT 기반 트레저리 기업 등장 암시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a16z, 미 재무부에 스테이블코인 법안 관련 의견서 제출…“프라이버시 보호형 디지털 신원 필요”

비둘기, 유니스왑 수수료 전환 “디파이 산업의 구조적 전환 신호”

비트와이즈 CIO “암호화폐 입법 통과 가능성 시장 과소평가”

인기뉴스

1

라인, 카카오게임즈 인수 검토

라인
2

OKX, 알로라(ALLO) 코인 현물마켓 상장·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OKX 거래소
3

11/11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17억원 순유입

비트코인 현물 ETF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5

마라 CEO “비트코인 채굴, 에너지 확보 없이는 생존 불가…2028년 반감기 이후 생태계 급변할 것”

마라 홀딩스(MARA Holdings)
6

바이낸스, 알로라(ALLO) 현물마켓 상장·호들러 에어드랍 진행

바이낸스
7

에어로드롬 CEO “경쟁사 ‘유니스왑’, 중요한 시점에 전략적 실수”

에어로드롬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