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도지코인 약세 속, 비트코인 점유율 4년만에 최고치

  • 엑스알피, 도지코인 등 주요 알트코인 약세 속 비트코인으로 자금 이동

암호화폐 시장이 다소 변동세가 줄어든 가운데, 투자자들은 여전히 알트코인 거래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비트코인(BTC)으로 자금을 옮기고 있다고 13일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최근 리플(XRP)의 상승 배경에는 블록체인 기업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간 법적 분쟁이 조만간 마무리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

다만 주요 거래소의 무기한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가 13억5000만 XRP 수준에서 안정된 가운데, 연간 환산 펀딩비와 누적 거래량 델타(CVD)가 모두 음수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에서 숏(매도) 포지션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펀딩비가 음수라는 것은 매도 포지션 보유자가 롱(매수) 포지션 보유자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다는 뜻이며, 이는 하락 전망이 우세함을 시사한다. 또한 CVD가 음수라는 것은 매도량이 매수량보다 많아 자금 유입보다는 유출이 더 크다는 의미다.

이와 같은 약세 흐름은 도지코인(DOGE), 솔라나(SOL), 수이(SUI), 헤데라(HBAR), 라이트코인(LTC), 트론(TRX) 등 여러 대형 코인에서도 나타났다.

도지코인, ‘데스 크로스’ 임박

도지코인은 단기 이동평균선(50일)이 장기 이동평균선(200일) 아래로 내려가는 ‘데스 크로스’ 형성을 앞두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단기 하락세가 장기 추세를 압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추가 매도 압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동평균선 교차 신호는 트렌드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지표지만, 과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시장에서는 반드시 하락을 예고하지는 않았다. 도지코인은 지난해 12월 48센트(약 696원)에서 현재까지 65% 하락했다.

비트코인 점유율 4년 만에 최고

비트코인의 시가총액 점유율이 62.5%까지 상승하며 2021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3조6000억 달러(약 5220조 원)를 넘어선 이후, 비트코인 점유율이 55%에서 62% 이상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는 시장이 불안정한 시기에 비트코인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으로 선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뉴욕증시 상장사 DDC,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위해 7600억원 확보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디자인 플랫폼 피그마, 美 상장 신청…비트코인 ETF 960억원 보유

이탈리아 대형은행 유니크레딧,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연계 상품 출시

美 애리조나 주지사, 범죄 몰수 비트코인 비축 법안 거부

뉴욕증시 상장사 DDC,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위해 7600억원 확보

플룸, 스테이블코인 ‘USD1’ 채택…pUSD 준비금 활용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코인 이미지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제롬 파월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미국 공화당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그레이스케일

美 SEC, 그레이스케일 ‘BTC·ETH·XRP·SOL·ADA 혼합형 암호화폐 펀드’ ETF 전환 승인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2

7월 코인 · 거시경제 일정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4

트럼프, 머스크 정조준…”보조금 없었으면 사업 접었을 것”

5

머스크 “빅뷰티풀 법안 통과 시 ‘아메리카당’ 신규 창당”

일론 머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