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X 붕괴·은행 파산 여파 속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 시급…IMF·FSB 등과 공조
주요 7개국(G7)이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위험성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된 규제 방안을 추진한다.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G7 회원국들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완화하고, 소비자 보호와 시장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공통 규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같은 계획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주재하는 히로시마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발표됐다. 일본은 이미 암호화폐 관련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한 상태이며, 유럽연합(EU)의 ‘MiCA(암호자산시장 규제안)’ 시행도 임박한 가운데, 이번 조치는 국제 공조를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다른 G7 회원국들도 디지털 자산이 세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일관된 규제 기준 마련을 위한 협력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움직임은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안정위원회(FSB), 국제결제은행(BIS) 등 글로벌 금융 감독 기관의 활동과도 연결된다. G20 성명서에서도 이들 기관이 디지털 자산 규제를 위한 공통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협력 중이라고 언급된 바 있다.
FTX 사태·암호화폐 친화 은행 붕괴, 규제 강화 촉발
이번 전략의 배경에는 2022년 말 파산한 대형 거래소 FTX의 붕괴가 있다. FTX 사태는 산업 전반의 거버넌스 부족과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내며,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줬다. 여기에 올해 미국 내 실버게이트(Silvergate)와 시그니처뱅크(Signature Bank) 등 암호화폐 친화적 은행의 잇따른 파산도 투자자 신뢰를 흔들었다.
이에 따라, G7은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유지해 온 국가 간 규제 체계를 조율하고, 글로벌 암호화폐 규제 표준 설정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는 입장이다.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감시와 규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향후 관련 산업 전반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