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스크 네트워크, 생태 조직 마스크DAO 개편… Next.ID, Web3.Bio, Firefly 독립 운영
- Web3 기반 소셜 네트워크 구축 가속화, “Web3 소셜 그룹”으로 전환 목표
분산형 소셜 프로토콜 마스크 네트워크가 생태 조직 마스크DAO의 전략적 개편을 21일 발표했다. 이번 조정에 따라 Next.ID, Web3.Bio, 파이어플라이 등 세 가지 핵심 프로젝트가 독립 기관으로 분리되었으며, 마스크DAO가 이를 관리하게 된다.
마스크 네트워크, Web3 소셜 그룹으로 전환
마스크 네트워크의 창업자인 수지 얀은 이번 개편이 텐센트의 생태 모델을 모방해 투자와 제품 매트릭스 확장을 통해 Web3 소셜 환경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2017년 설립 이후 브라우저 플러그인을 통해 트위터 사용자에게 암호화된 통신, 결제 및 저장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또한 벤처 캐피털 Bonfire Union을 통해 1억 달러(약 1,450억 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하며 분산형 소셜 인프라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왔다.
현재 마스크 네트워크는 3개의 활성 마스토돈 노드를 운영 중이며, 소셜 네트워크의 분산화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파이어플라이, Web3 소셜 네트워크의 핵심으로 성장
마스크 네트워크의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인 파이어플라이는 Web3 기반 소셜 애그리게이터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자신의 파이어플라이 홈페이지를 공개적으로 소개한 바 있으며, 파이어플라이의 토큰화 개발 가능성도 커뮤니티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개편으로 파이어플라이를 비롯한 각 프로젝트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분산형 소셜 경제 모델을 더욱 탐색하고, 향후 기본 토큰 출시의 기반을 마련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마스크 네트워크의 이번 전략적 조정은 각 프로젝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Web3를 더 가까운 곳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마스크 네트워크는 Web3 기반의 분산형 소셜 네트워크 환경 구축을 더욱 가속화하고, 글로벌 소셜 미디어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를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