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시황] 미국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논의, 시장 변동성 유발

암호화폐 시장의 초점이 미국의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이행 가능성으로 이동하면서 투자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상화폐 시황

지난 23일 오후 11시경 대통령령 발령 가능성과 관련된 기대가 비트코인 시세를 끌어올렸으나, 24일 새벽 루미스 의원이 디지털 자산 소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된 소식 발표 이후 시세는 하락했다.

이어서 미국의 국가 비트코인 준비금을 평가하기 위한 실무 그룹 설립 관련 대통령령 서명 소식이 전해지며 반등하는 듯 했지만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발표를 앞두고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행 기준금리 발표 예정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에 대한 우려가 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발생했던 ‘블랙 먼데이’ 사태와 같은 금융시장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일본 교도통신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이 단기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혼란을 야기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며 “일본은행이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과 7월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추가 인상 시기를 검토해 왔다. 이달 금리가 0.5%로 인상되면 2008년 10월 이후 약 17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시장 동향

가상자산 애널리스트 NISHI에 따르면,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계획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시세 변동성을 야기했다. 특히 루미스 의원이 제안한 ‘100만 BTC 비축’ 목표가 대통령령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점이 일부 투자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파생상품 동향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일부 거래소에서 현물 가격이 선물 가격보다 높은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현상이 발생하며, 비트코인 수급이 전반적으로 긴축되고 있다.

또한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모두에서 대규모 청산이 발생해 활성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이 감소한 상황이다. 이는 대규모 매도 연쇄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현물시장의 구매 주문량이 파생상품시장의 구매 주문량을 상회하는 움직임도 관찰되고 있으며, 이는 수요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다가오는 주요 일정

  • 1월 24일: 일본은행 금리 발표
  • 1월 24일: 미국 구매관리자지수(PMI) 발표
  • 1월 30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eb@economybloc.com

└관련 뉴스

최신 뉴스📨

인기뉴스🚀

1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 3월 예정”

비탈릭 부테린 / CNBC
2

온도 파이낸스, ‘온도 넥서스’ 공개… 토큰화된 국채 유동성 강화

온도파이낸스(ONDO)
3

WLFI, 1826 이더리움 추가 매수… 4500억원 규모 ETH·WBTC 등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체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4

비트코인, 2017년 사이클과 유사한 흐름 유지

2015~2018 사이클과 현재 사이클 비교 - 글래스노드
5

미국 이더리움 ETF 거래량 사상 최고치 기록, 트럼프 관세가 시장 뒤흔들어

이더리움 ETF

3일: 오닉스코인(XCN) 주요 업데이트 공개
3일: 플레어(FLR) 데이터 커넥터 메인넷 투표 진행
3일: NIL 메인넷 출시
3일: 텐셋(10SET) 메트로폴리스 월드 IDO 진행
4일: PEP 반감기(블록 보상 62,500 → 31,250 PEP)
4일: 월렛커넥트토큰(WCT) 토큰 판매 진행
4일: 스텔라(XLM): 4분기 정기 리뷰
4일: 메타플렉스(MPLX) MIP-01 투표 종료
5일: XDC 8억4,118만 토큰 언락(5.63%)
5일: 카스파(KAS) 1억7201만 토큰 언락(0.67%)
5일: 보바 네트워크(BOBA) 홀로세인 하드포크 진행
🌐5일: 한국 CPI
6일: 온도 서밋 2025 개최
6일: 슈퍼레어(RARE) 시즌 III 에어드롭 종료
6일: MAVIA 1,304만 토큰 언락(41.35%)
6일: 퍼퍼(PUFFER) 2차 투표 에폭 진행
🌐7일: 미국 1월 비농업부문 고용, 1월 실업률
7일: 라디언트 캐피털(RDNT) RFP-47 투표 진행
9일: 무브먼트(MOVE) 5,000만 토큰 언락(2.17%)

*현지시간 기준
*해당일정은 연기/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