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다우 지수 입성… 인텔 25년 만에 퇴출

엔비디아
엔비디아
  • 엔비디아, AI 칩 시장 장악… 인텔은 부진
  • 엔비디아, AI 붐의 최대 수혜자… 하지만 과제도 남아
  • 다우 지수, AI 시대 반영… 엔비디아, 반도체 업계 세대교체 이끌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11월 8일부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다우 지수)에 편입된다. 1999년부터 다우 지수를 구성해 온 인텔은 25년 만에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인텔은 1999년 다우 지수 편입 당시 주가가 42.25달러였지만, 현재는 약 23.2달러로 하락한 상태다. 반면 엔비디아는 올해 주가가 180% 이상 급등하며 시가총액 3.32조 달러(약 4,487조 원)를 기록, AI 시대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엔비디아의 급성장은 AI 칩 시장에서의 압도적인 지배력 덕분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GPU를 앞다퉈 구매하고 있다. 특히 최신 H100 칩은 2만~3만 달러(약 2,700만~4,050만 원)의 고가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반면 인텔은 PC 칩 시장 점유율 하락, AI 시장 진출 지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주가는 50% 이상 하락하며 다우 지수 구성 종목 중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엔비디아는 AI 붐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지난 5분기 연속 매출이 2배 이상 증가했으며, 3분기에는 3배 이상 늘었다. 차세대 AI 칩 ‘블랙웰’에 대한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초기 생산 단계에서 설계 문제가 발견되어 제조 효율이 예상보다 낮아지는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

엔비디아의 다우 지수 편입으로 시가총액 1조 달러(약 1,350조 원) 이상의 기술 기업 6개 중 4개(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세일즈포스)가 다우 지수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는 반도체 업계의 세대교체와 AI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엔비디아, 클라우드 분야 진출에 아마존·구글 긴장

엔비디아, 시가총액 4750조원…MS 제치고 세계 1위 탈환

엔비디아 분기 매출 60조원…전년比 69% 증가 호실적

엔비디아, 중국 수출 제한 대응해 저가형 블랙웰 AI 칩 출시 예정

미 증시, 테슬라 실적·ADP 고용지표 대기

미국 M2 통화공급 사상 최대, 비트코인 기대감도 확대

바이비트, 임파서블 클라우드 네트워크(ICNT) 코인 현물마켓 상장·이벤트 예정

체인바운티, 어나운스먼트 예고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미국 월스트리트

미 증시, 테슬라 실적·ADP 고용지표 대기

미국 M2 통화공급 사상 최대, 비트코인 기대감도 확대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인기뉴스

1

머스크 “트럼프, 여러 분쟁 해결…공은 인정해야” 언급

트럼프 / 일론머스크
2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3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4

코인베이스, 웜홀(W) 코인 상장 예정

코인베이스
5

‘이더리움 커뮤니티 재단’ 출범…“ETH 소각효과 있는 프로젝트만 지원”

이더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