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아(KAIA) 코인

카이아(KAIA)
KAIA

가상자산카이아 (Kaia)
심볼명KAIA
기반클레이튼, 핀시아
발행사카이아 DLT 재단
위치아랍에미레이트
주요인물서상민(의장)
발행일2024년 8월 29일
발행한도
카테고리레이어 1, 메타버스, NFT, DeFi
특징✅클레이튼·핀시아 통합 레이어 1
✅아시아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목표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호환성
정보➡️카이아(KAIA)-코인마켓캡
➡️카이아(KAIA)-코인게코

1. 카이아(KAIA) 란?

카이아(KAIA)
카이아(KAIA)

1-1. 카이아 블록체인이란?

카이아(KAIA)는 각자의 강점을 가진 클레이튼(KLAY)과 핀시아(FNSA)의 통합으로 탄생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2024년에 아부다비에 카이아 DLT 재단이 설립되어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클레이튼은 높은 확장성과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핀시아는 라인과의 통합을 통해 넓은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카이아는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장점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고성능, 사용 편의성, 안전성을 제공하여 아시아 Web3 시장을 선도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목표로 탄생했습니다.

또한 카이아측은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통합은 블록체인 기술 발전과 양 플랫폼의 강점을 융합하여 더욱 강력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밝혔습니다.

  • 클레이튼: 높은 처리 능력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며, 기업용 솔루션으로 성장했습니다.
  • 핀시아: 라인 앱과의 통합을 통해 일상생활과 밀접한 블록체인 기술 보급을 추진해왔습니다.

카이아의 융합:

클레이튼의 높은 성능을 기반으로 더욱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과 핀시아의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계승하여Web3 및 메타버스 사용 편의성을 높여 아시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생태계를 확장합니다.

카이아의 목표:

  • 아시아 최고의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 Web3 및 메타버스 대중화
  • 빠른 거래 속도 및 낮은 수수료 제공
  • 높은 보안성 유지
  •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호환성 제공

1-2. 클레이튼(KLAY)이란?

클레이튼(KLAY)은 한국의 대표 IT 기업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그라운드X는 2019년 6월에 클레이튼 메인넷을 공식 출시했습니다.

클레이튼은 많은 거래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게임,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업 수준의 사용을 위해 최적화되었으며, 확장성, 보안성, 사용자 친화성을 갖춘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합니다.

  • 고성능: 클레이튼은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높은 성능을 자랑합니다.
  • 사용자 친화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개발 도구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다양한 활용: 게임, DeFi, NF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1-3. 핀시아(FNSA)란?

핀시아(FNSA)는 라인 블록체인으로 시작하여 아시아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라인 앱과의 완벽한 통합을 통해 사용자는 라인에서 암호화폐 송금 및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설정이나 지식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라인의 강력한 보안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한 거래와 데이터 관리를 지원합니다.

  • 라인 연동: 라인 메신저와의 연동을 통해 암호화폐 송금 및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넓은 사용자 기반: 라인의 폭넓은 사용자층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 아시아 시장: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카이아(KAIA) 코인이란?

클레이튼과 핀시아, 두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토큰인 핀시아(FNSA)와 클레이튼(KLAY) 코인은 통합 후 리브랜딩으로 네카오 코인이라 불리며 “카이아(KAIA)”로 변경되었습니다.

  • 통합 체인: 코스모스와즘(CosmWasm)과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을 모두 지원하는 블록체인입니다. 현재 핀시아는 코스모스와즘을, 클레이튼은 EVM을 지원합니다.
  • 양쪽 가상 머신 지원: 코스모스와 이더리움, 두 생태계의 개발자 모두에게 접근성을 제공하고, 각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며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킵니다.

토큰 이코노믹스:

  • KAIA는 스마트 계약 실행 및 거래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 블록 보상의 50%는 검증자와 커뮤니티에, 25%는 Kaia 생태계 기금에, 25%는 Kaia 인프라 기금에 할당됩니다.
  • 클레이튼 1개는 카이아 1개로 전환
  • 핀시아 1개는 카이아 148개로 전환


3. 카이아 특징

3-1. 기술적 특징

카이아는 초당 최대 4,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높은 처리 능력과 향상된 보안을 제공하며, 거래 수수료를 절감했습니다.

  • 1초의 블록 생성 및 확인 시간
  • 초당 4,000개의 트랜잭션 처리 능력
  • 이더리움의 약 1/10 수준의 낮은 가스 비용
  •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 호환성

3-2.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카이아는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라인 앱과의 완벽한 통합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블록체인 기술을 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간편한 사용: 복잡한 기술 용어나 설정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라인 앱 연동: 라인 앱에서 카이아를 사용하여 암호화폐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다양한 기능: 암호화폐 지갑, NFT 마켓플레이스, DeFi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높은 보안: 라인의 보안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한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3-3. 생태계 확장

카이아는 여러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다채로운 이용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카이아 생태계 확장과 블록체인 기술 대중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요 연동 서비스:

  • 탈중앙화 금융(DeFi): 카이아는 다양한 DeFi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암호화폐 예치, 대출, 거래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NFT 마켓플레이스: 카이아는 NFT 마켓플레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NFT를 발행, 구매, 판매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메타버스: 카이아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가상 세계에서 카이아를 사용하여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게임: 카이아는 게임 플랫폼과 연동하여 게임 내에서 카이아를 사용하여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합니다.
  • 결제: 카이아는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와 협력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이아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카이아 전망

라인 네스트 & 카카오 파트너십

LINE NEXT와 KAKAO의 협력을 통해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와 개발자 도구를 제공하여 블록체인 기술의 접근성을 높이고, 금융,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LINE NEXT:

  • UX 전문성을 바탕으로 카이아의 공식 디지털 지갑 “Kaikas”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합니다.
  •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이아 생태계 접근성을 높입니다.

KAKAO:

  • 한국 시장에서의 강력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기대 효과:

  • 사용자 경험 향상
  • 블록체인 기술 확산
  • 생태계 활성화
  • 새로운 파트너십 및 협력 기회 창출

위와 같이 카카오와 네이버 라인의 협력으로 향훙 시너지 효과에 기대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의혹과 논란에 주의해야할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5. 클레이튼·핀시아·카이아 의혹과 논란

241030 업비트-업비트 APAC, 카이아 (KAIA) 대응 두고 온도 차 ‘극명’ – 내외경제

241016 “자신들이 내건 상금 90% 스스로 차지” 카이아스왑 논란 끝 계약 해지 이유 – 일요신문

241016 네이버 라인의 NFT 프로젝트 도시, 자전거래 방치 논란으로 ‘시끌’ – 뉴스1

240723 카카오 창업주 김범수, SM엔터 시세조종 혐의로 구속… 클레이튼 코인 하락

230309 클레이튼 코인, 몰래 분산 매각 논란

221222 클레이튼, 재단 지갑 논란…‘퍼미션리스化’ 선언엔 ‘탈중앙화’ 의견분분 – 이투데이

이외에도 과거 여러 다양한 의혹과 논란들이 있었습니다. 카이아로 리브랜딩 후 이러한 논란들을 이겨내고 변화된 모습을 보일 수 있을지 지켜봐야될 것으로 보입니다.

– 디지털 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 투자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6. 카이아(KAIA) 보고서

거래소바로가기
업비트
빗썸가상자산 검토보고서
코인원가상자산 설명서


7. 카이아(KAIA) 상장 거래소

국내 거래소상장 정보시세·거래 페이지
업비트상장
빗썸상장KAIA/KRW
코인원상장KAIA/KRW
코빗상장KAIA/KRW
해외 거래소상장 정보시세·거래 페이지
바이낸스상장KAIA/USDT
코인베이스비상장
OKX상장KAIA/USDT
바이비트비상장
바이낸스 회원가입
오케이엑스 회원가입
바이비트 회원가입

· 배너 가입 시 거래 수수료 할인 혜택 적용(초대코드 포함)


8. 카이아(KAIA) 공식 채널

채널
공식사이트
익스플로러
백서
X(구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디스코드
텔레그램
인스타그램
레딧
블로그
깃허브


9. 카이아체인 공식 X(트위터)

https://twitter.com/kaiachain

📑본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헤당 자료는 어떠한 형태로든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하는 것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 eb@economybloc.com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코인 주요소식을 이코노미블록에서… 

└관련뉴스

카이아, 체인링크 CCIP로 블록체인간 생태계 연결 확대

카이아, 대만 타이완모바일과 MOU 체결

제타체인, 카이아 테스트넷 연결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계획

업비트, 카이아 네트워크 기반 테더(USDT) 입출금 지원

바운스비트, 트레이드 수수료로 BB 코인 바이백 검토

스페이스앤드타임, ZK 서비스에 USDC 결제 도입

메르카도 비트코인, 스텔라서 $2억 규모 실물자산 토큰화 추진

브레라홀딩스, 솔라나 재무기업 ‘솔메이트’로 전환…42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인기뉴스

1

빗썸, 원화마켓 코인 200종 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 진행

빗썸
2

미국서 리플·도지코인 ETF 첫 상장…CME, 리플·솔라나 옵션 선보인다

코인 이미지
3

일론 머스크, X머니 내부 작업 중 곧 베타 테스트 시작

X 엑스
4

도지코인·리플 ETF 오늘 상장 예정…오피셜트럼프·봉크 ETF는 아직 미정

도지코인
5

美 SEC, 그레이스케일 디지털자산(BTC·ETH·SOL·XRP·ADA) 라지캡 ETP 승인

그레이스케일
6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 “연내 엑스알피 현물 ETF 승인 전망”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
7

바이낸스, 롬바드(BARD) 코인 현물·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예정

바이낸스
미국 월가
플라즈마
미국 증시 / 프리픽
바이낸스
업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