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 토르체인 (THORChain) |
심볼명 | RUNE |
기반 | 자체 메인넷 (Cosmos SDK, Tendermint 기반) |
발행사 | THORChain |
발행일 | 2019년 7월 |
발행한도 | – |
카테고리 | 크로스체인 DEX, DeFi, 유동성 풀 |
특징 | ✅탈중앙화된 크로스체인 거래소 프로토콜 ✅다양한 블록체인 간 자산 교환 지원 ✅유동성 풀 기반 거래 방식 ✅자체 토큰 RUNE 사용 |
정보 | ➡️토르체인(RUNE)-코인마켓캡 ➡️토르체인(RUNE)-코인게코 |
1. 토르체인(THORChain) 이란?
탈중앙화된 크로스체인 DEX 프로토콜
토르체인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암호화폐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탈중앙화된 크로스체인 DEX(탈중앙화 거래소) 프로토콜입니다. 기존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는 해킹으로 인한 자산 유출 위험이 높았습니다. 토르체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암호화폐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토르체인은 2018년 바이낸스에서 주최한 해커톤에서 익명의 개발자 팀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약 20명의 개발자가 참여했으며, 토르체인에 사용된 리소스 대부분은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탈중앙화에 대한 요구는 끊이지 않습니다. 중앙화된 거래소는 사용자 자산에 대한 통제권을 제한하고, 해킹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토르체인은 탈중앙화된 크로스체인 거래를 지원하는 유동성 프로토콜로, 암호화폐를 거래하고 스테이킹, 대출, 유동성 공급에 참여할 수 있는 자유와 통제권을 제공합니다.
2. 토르체인(RUNE)코인 이란?
🟢 토르체인(THORChain) 생태계 기본 토큰
🔹 네트워크 동력: DEX 모든 거래에 사용
🔹 거래 수수료: 수수료 지불 수단
🔹 거버넌스: 제안·업그레이드·변경 투표 참여
🔹 유동성 풀: 유동성 공급 핵심 자산
📂 스테이킹 & 파밍
🔹 PoS 기반 → 채굴 불가, 스테이킹으로 참여
🔹 유동성 제공: 자산 예치 → RUNE 보상 획득
🔹 RUNE 스테이킹: 네트워크 운영 기여 + 보상
🔹 거래소 스테이킹: 중앙화 거래소 예치 시 보상 제공
3. 토르체인 특징
📂 샤프시프트(ShapeShift) 파트너십
🔹 2021년 협력 체결
🔹 샤프시프트 = 암호화폐만 사용하는 탈중앙화 거래소
🔹 토르체인을 통해 BTC ↔ ETH, LTC 등 교환 가능
📂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연결
🔹 BSC 기반 토큰 스왑 기능 제공
🔹 크로스체인 기술로 다양한 블록체인 자산 교환 지원
📂 Asgard 출시 (2021)
🔹 BTC, ETH, LTC, BNB 간 교환 가능
🔹 초기 BEP-2 토큰 한정 → 이후 크로스체인 자산 교환 기능 확장
🔹 토르체인 실용성 강화
📂 견고한 보안 시스템
🔹 코스모스 SDK 기반 커스터마이징 및 보안 강화
🔹 서틱(Certik) 보안 감사 완료
🔹 해킹·공격 대응 위한 고도화된 보안 구조 적용
4. 토르체인(RUNE) 상장 거래소
🔗바이낸스 바로가기
· 수수료 할인 혜택 적용(초대코드 포함)
🔗바이비트 바로가기
· 거래 수수료 할인 혜택(초대코드 포함)
5. 토르체인(RUNE) 보고서
거래소 | 바로가기 |
코인원 | 가상자산 명세서 |
6. 토르체인 공식 채널
📑본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헤당 자료는 어떠한 형태로든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하는 것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