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법무부, 비자(VISA)에 결제 시장 독점 금지 소송 제기

법무장관 “불법적 시장 지배로 소비자 가격 상승 초래”

미국 법무부(DOJ)가 결제 대기업 비자를 직불 결제 시장 독점 혐의로 제소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간) 뉴욕 연방 법원에 제출된 소장에서 법무부는 비자가 독점 계약과 벌금 위협 등을 통해 경쟁사 진입을 막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해 왔다고 주장했다.

비자는 미국 직불 결제 시장에서 약 6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래 수수료 수익만으로 연간 70억 달러(약 9조 3,100억 원)를 벌어들인다.

메릭 갈랜드 법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비자는 경쟁 시장에서 부과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높은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는 힘을 불법적으로 축적했다”며, “이로 인해 가맹점과 은행은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거의 모든 상품 가격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비자가 시장 지위를 활용해 잠재적 경쟁사를 파트너십으로 끌어들이고, 기업 지분을 이용해 대안 서비스의 성장을 차단해 왔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구조는 설령 경쟁 서비스가 등장하더라도 소비자 가격 인상을 피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스테이블코인, 새로운 결제 대안으로 부상

직불 결제 시장에 대한 반독점 소송과 더불어, 최근 스테이블코인의 부상이 비자의 지배력에 도전장을 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024년 초 사크라의 공동 설립자 얀 에릭 아스플룬드는 “스테이블코인은 편의성 측면에서 기존 결제 시스템을 능가한다”며, “국제 결제의 주요 수단으로 비자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비자는 스테이블코인의 데이터 안정성과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반박하며, 글로벌 금융 시장 내 자사의 지위는 과장된 위협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외 여러 지역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일부 시장에서 법정 화폐를 제치고 결제 수단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비트와이즈, 미국 SEC에 스테이블코인·토큰화 ETF 신청

구글, AI·가상자산 결제 통합 오픈소스 프로토콜 공개

홍콩 금융당국, 스테이블코인 1차 라이선스 소수 발급 계획

유럽중앙은행 총재 “역외 스테이블코인 규제 공백 대응 필요”

9/18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5133만 순유출

카이아, 체인링크 CCIP로 블록체인간 생태계 연결 확대

DBS·프랭클린템플턴·리플, 디지털 자산 거래·대출 서비스 협력

美 가상자산 베팅시장 칼시, 솔라나·베이스 협력해 생태계 허브 출범

비트코인 현물 ETF
그레이스케일
코인 이미지
코인 이미지

인기뉴스

1

바이낸스, 토시(TOSHI)·에스티비엘(STBL) 코인 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예정

바이낸스
2

미국서 리플·도지코인 ETF 첫 상장…CME, 리플·솔라나 옵션 선보인다

코인 이미지
3

오케이엑스, 에테나(ENA) 코인 현물마켓 상장 예정

OKX 거래소
4

빗썸, 토시(TOSHI)·홀로월드(HOLO) 코인 원화마켓 상장 예정

빗썸
5

美 SEC, 그레이스케일 디지털자산(BTC·ETH·SOL·XRP·ADA) 라지캡 ETP 승인

그레이스케일
6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7

바이낸스, 알파(ALPHA) 코인 무기한 선물 상장폐지 예정

바이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