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1분기보다 낮은 9월 변동성, 올해는 이례적 수준…CPI·미 대선 주목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업체 카이코는 9일 발표한 분석 보고서를 통해 9월 들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격 변동 폭이 이례적으로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9월은 1월부터 3월 사이보다 가격 변동성이 낮지만, 올해는 예외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9월 효과’ 재확인…약세장 지속 여부는 연준 정책에 달려
카이코는 과거 사례를 인용해 9월이 8월과 함께 가상자산을 포함한 위험자산 시장에서 약세 흐름이 나타나는 시기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계절적 현상은 이른바 ‘9월 효과’로 불리며,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변화가 이같은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변동성 70%…작년 대비 2배 수준
카이코는 비트코인의 30일간 가격 변동률이 보고서 기준 시점에서 70%에 달해, 작년 9월의 약 두 배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수치는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올해 3월의 변동성 수준에 근접한다. 또, 지난 12년간 9월 중 7차례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이더리움, 3월 수준 및 비트코인보다 변동성 더 커
이더리움의 경우 변동성이 3월 수준을 넘어섰으며, 이달의 비트코인보다 더 큰 폭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코는 투자사 점프의 대규모 자금 이동이나 현물 ETF 출시와 같은 이더리움 관련 이슈들이 이러한 움직임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옵션시장 IV 상승…단기 위험 회피 심리 반영
카이코는 9월 들어 비트코인 옵션시장에서 기대 변동성(IV)이 급등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9월 13일 만기 옵션의 IV는 52%에서 61%로 상승했으며, 이는 같은 달 27일 만기 옵션보다 높은 수치다. 일반적으로 단기 IV가 장기 IV를 상회할 경우,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가 커졌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카이코는 이러한 시장 변화의 배경으로 6일 발표된 미국 고용통계를 언급했다. 예상보다 견고한 지표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췄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위험자산 비중을 줄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전망과 관련해 카이코는 11일 발표 예정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11월 5일 예정된 미국 대선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대선을 앞둔 1~3개월 동안 미국 주식시장의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현 정권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그 폭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