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자산 | 다이 (DAI) → 유에스디에스(USDS) |
| 심볼명 | DAI → USDS |
| 기반 | 이더리움 (Ethereum) |
| 발행사 | 메이커다오 (MakerDAO) |
| 주요인물 | Rune Christensen – 메이커다오 설립자 |
| 발행일 | 2017년 12월 |
| 발행한도 | ∞ |
| 카테고리 | 스테이블코인 |
| 테마 | 탈중앙화 금융 (DeFi),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 |
| 특징 | ✅다양한 담보 자산 추가 및 담보 비율 조정 논의 ✅탈중앙화 거버넌스 통한 메이커 프로토콜 개선 ✅DAI → USDS로 리브랜딩 |
| 정보 | ➡️다이(DAI)-코인마켓캡 ➡️다이(DAI)-코인게코 |
바로가기
1. 유에스디에스(USDS) 코인이란?
1-1. 스테이블코인 다이(DAI) → 유에스디에스(USDS) 리브랜딩
다이(DAI)는 최초의 탈중앙화된 담보 기반 알고리즘 스테이블 암호화폐입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의 ERC-20 토큰인 다이는 다른 암호화폐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락업하여 1 미국 달러와 1:1 가치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다른 스테이블코인들이 중앙 기관에 의해 발행 및 통제되는 것과 달리, 다이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탈중앙화된 자율 생태계인 메이커 프로토콜(Maker Protocol)의 네이티브 토큰입니다.
관련뉴스:
- 업비트, 스카이(SKY)·유에스디에스(USDS) 코인 리브랜딩 완료 거래재개 예정
- 스카이, 에이브 v3 이더리움 메인 및 리도 풀에서 USDS 지원 시작
- 메이커다오, 일부 커뮤니티 반발에도 스카이(Sky) 브랜드 유지 결정
- 메이커다오 설립자, MKR or SKY 토크노믹스 개편 제안 “디플레이션·보상 강화”
1-2. DAI의 역사
DAI의 기원은 룬 크리스텐센(Rune Christensen)이 2014년 메이커다오(MakerDAO)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메이커다오는 전통적인 중개 기관 없이 대출과 차입을 가능하게 하는 탈중앙화 신용 시스템을 구상했습니다. 하지만 대출금 지급 및 거래를 원활하게 하려면 안정적이고 변동성이 없는 디지털 화폐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2017년 12월 DAI가 탄생했습니다.
2. 다이 특징
📂 암호화폐 초과 담보 기반 발행
🔹 DAI는 법정화폐 대신 암호화폐를 담보로 발행
🔹 이더리움(ETH) 등 자산을 스마트컨트랙트에 락업
🔹 발행 가능한 DAI 수량은 담보 가치와 초과담보 비율에 따라 결정
🔹 담보 초과는 가격 변동 시 안정성을 유지하는 완충 역할
📂 탈중앙화 거버넌스 운영
🔹 메이커다오는 DAO 형태로 커뮤니티에 의해 운영
🔹 토큰 보유자가 위험 매개변수, 담보 추가 등 핵심 결정에 투표
🔹 투명성과 참여 중심 구조로 DAI의 안정성 유지
📂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구조
🔹 다이는 법정화폐 준비금 기반(USDC 등) 스테이블코인과 다름
🔹 다양한 암호화폐 포트폴리오를 담보로 알고리즘이 자동 조정
🔹 시장 상황에 따라 담보 비율 및 구조가 유동적으로 관리됨
📂 담보자산 리스크
🔹 USDC가 다이 담보의 주요 비중을 차지
🔹 USDC가 디페깅되거나 동결될 경우 다이도 연동 해제 가능
📂 기술 및 운영 리스크
🔹 스마트컨트랙트 오류, 버그, 해킹 시 시스템 불안정 가능
🔹 알고리즘 실패 시 DAI의 달러 연동(페깅) 유지 불가 위험
📂 USDC 디페깅 사태와 DAI
2023년 3월 USDC 디페깅(1달러 가치 연동 실패) 사태 당시, DAI는 담보 자산의 상당 부분을 USDC로 보유하고 있어 일시적으로 약 0.88달러까지 하락하는 위기를 겪었습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하게 USDC 디페깅에도 불구하고 DAI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디페깅 상황에서 DAI를 더 안전한 옵션으로 인식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디페깅 위기에 대응하여 메이커다오 시스템의 자동 메커니즘이 작동했습니다. 새로운 DAI 생성에 대한 안정화 수수료를 인상하고 DAI 소각 수수료를 인하하여 DAI 유통량을 효과적으로 줄였습니다.
사태 이후, 메이커다오 커뮤니티는 2024년 5월 투표를 통해 USDC를 DAI의 주요 준비 자산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디페깅 사태에도 불구하고 USDC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한 커뮤니티의 신뢰를 보여줍니다.
📂 다이(DAI) 보고서
| 거래소 | 바로가기 |
| 업비트 | – |
| 빗썸 | 다이 상장검토보고서 |
| 코인원 | – |
3. 다이(DAI) 상장 거래소
➡️ 바이낸스 회원가입
➡️ 오케이엑스 회원가입
➡️ 바이비트 회원가입
· 수수료 할인 혜택(초대코드 포함)
4. 다이 공식 채널
| 채널 | URL |
| 공식사이트 | https://makerdao.com/ko/ |
| 백서 | https://makerdao.com/en/whitepaper/ |
| X(구 트위터) | https://x.com/MakerDAO |
| 텔레그램 | https://t.me/makerdaoOfficial |
📑본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헤당 자료는 어떠한 형태로든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하는 것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