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에서 비트코인(BTC)은 4월 7일 기준 전일 대비 4.3% 하락한 5만6658달러에 거래됐다.
코인글래스(Coinglass)의 선물 청산 데이터에 따르면 이번 하락으로 인한 청산 규모는 지난해 8월 5일 발생한 플래시 크래시 당시의 약 1/7 수준에 그쳤다. 다만 비트코인이 6만5000달러까지 반등하며 쌓인 대규모 롱 포지션이 여전히 청산 리스크를 안고 있어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증시 급락, 암호화폐 시장에도 영향
4월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는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 폭락의 영향으로 급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5%(626포인트) 하락한 4만936달러, 나스닥 종합지수는 3.2%(577포인트) 하락한 1만7136으로 마감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9.5% 급락하며, 반도체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다. 미국 법무부가 독점금지법 위반과 관련해 엔비디아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 문서 제출을 명령한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
이 여파는 일본과 한국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 니케이 평균주가는 3.3%(1280엔) 하락했고, 국내 코스피와 코스닥도 각각 장중 2.85%, 3.25% 하락세를 보였다.
암호화폐 관련 주식도 동반 하락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따라 암호화폐 관련 주식들도 약세를 보였다. 코인베이스는 7.7%,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7.6%, 마라톤 디지털은 8.6% 하락 마감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주 예정된 미국 고용지표 발표와 19~20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