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등록·라이선스 취득 절차 진행…향후 암호화폐 통합 계획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전부터 언급해온 결제 시스템 구축 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비트코인닷컴 보도에 따르면, 트위터는 최근 결제 인프라 개발을 위한 전담 팀을 구성하고 미국 내 규제 승인 및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이다.
FT “에스더 크로포드, 결제 물류 총괄…법정화폐 기반 먼저 설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위터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 측근인 에스더 크로포드가 해당 결제 시스템 개발의 실무를 총괄하고 있다고 전했다. 초기 시스템은 법정화폐를 중심으로 설계되며, 이후 암호화폐 통합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는 2022년 6월부터 결제 기능 추가에 대한 구상을 언급해왔으며, 인수 직후 열린 첫 회의에서 “트위터에 결제 시스템이 구축되면 명목 화폐와 암호화폐 모두 쉽게 송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위터는 2023년 1월 현재, 결제 시스템 운영을 위한 관련 규제 등록 및 라이선스 취득을 진행 중이다.
인수 전부터 암호화폐 실험…파일럿 프로그램도 운영
트위터는 머스크가 인수하기 전에도 암호화폐 관련 기능을 여러 차례 실험해왔다. 2021년 잭 도시 전 CEO 재임 시절에는 비트코인 기반 팁 서비스와 NFT 기능이 도입됐으며, 2022년 4월에는 결제 서비스 기업 스트라이프(Stripe)와 함께 암호화폐 결제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한 바 있다.
또한 트위터는 2022년 11월, 미국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CEN)에 공식 등록되며 자금 세탁 방지 규제를 충족하는 결제 기반을 마련했다. 머스크는 이를 통해 머니마켓 계좌, 직불카드 등 다양한 금융 기능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규제 장벽·인프라 비용이 주요 변수
결제 시스템 도입이 실제로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모펫네이선슨(MoffettNathanson)의 수석 애널리스트 리사 엘리스는 “기술 기업들이 결제 시스템을 시도하지만, 복잡한 규제 절차와 장기적 비용 부담으로 인해 중도 철수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이어 “결제 사업은 단순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허가와 규정 준수 인프라 유지가 필수적”이라며, “기술 기업들이 이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포기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트위터가 머스크의 구상대로 종합 결제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을지는 향후 규제 승인과 사용자 반응에 달려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