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코인 열풍 속 솔라나 관심 급증…온체인 거래량 사상 최고치 기록

솔라나 시세 / 코인게코
솔라나 시세 / 코인게코
  • 구글 트렌드에서 ‘솔라나’ 검색량, 5년 만에 최고치
  • 온체인 거래량 5조 원 돌파, 신규 주소도 최고치 경신
  • 프리세일형 밈코인 사기 사례 증가…경계감도 확대
  • 바이낸스·OKX, 밈코인 상장 전략 차이 드러나

밈코인 인기가 높아지면서 암호화폐 솔라나(Solana)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구글 트렌드 기준 솔라나에 대한 검색 지수는 ‘100’을 기록하며, 2023년 12월의 최고치인 ’73’과 2021년 9월의 ’71’을 넘어섰다.

솔라나의 시세는 200달러대를 회복했으며, 시가총액 기준으로 바이낸스코인(BNB)을 제치고 4위에 올랐다.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솔라나는 3월 16일부터 이더리움(Ethereum)보다 더 높은 검색량을 기록했다. 3월 16일은 솔라나 메인넷 출시 4주년이었다. 한편, 솔라나는 FTX 파산 당시 8달러대까지 하락한 바 있다.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금요일 솔라나 네트워크의 온체인 거래량은 37.9억 달러(약 5조 417억 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은 30억 달러(약 3조 990억 원)에 달했다. 신규 생성 주소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토요일 하루에만 약 87만 개가 생성됐다.

이더리움 메인넷 및 그 레이어 2의 탈중앙화 거래소(DEX) 거래량도 30억 달러를 넘어서며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밈코인 프리세일 급증 속 사기 피해 우려

솔라나 기반 밈코인 ‘봉크(BONK)’에서 시작된 밈코인 인기는 도지위프햇(WIF)의 시세 급등과 함께 더욱 확산됐다. SNS상 밈 아티스트들이 ‘BOME’ 등의 프리세일 밈코인을 발행하며 자금을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프로젝트는 ‘출구 사기(Exit Scam)’로 드러났다.

이들 프리세일 밈코인은 솔라나의 분산형 거래소 유동성 풀을 활용해 조달한 자금으로 토큰 유동성을 구성하지만, 유동성을 잠근 뒤 토큰 배포 없이 자금을 회수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개발 경험이 부족한 발행자가 증가하는 점도 위험 요소로 지적된다. 실제로 밈코인 ‘슬러프(Slerf)’ 발행자는 약 1000만 달러(약 133억 원) 규모의 유동성 포지션 토큰을 실수로 소각해, 프리세일 투자자에게 토큰을 지급하지 못한 바 있다. 슬러프는 발행량 감소 소식으로 가격이 일시 상승했으나, 이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바이낸스·OKX, 밈코인 상장 전략 차이

밈코인 BOME은 발행 3일 만에 바이낸스에 상장되며 주목받았지만, 이후 시세는 하루 만에 40.5% 하락했다. 바이낸스는 BOME 상장과 관련한 ‘내부 거래’ 의혹에 대해 자체 조사를 실시했으며,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바이낸스의 경쟁사 OKX는 솔라나 기반 밈코인을 상장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틸리티 토큰을 우선적으로 발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OKX는 유망 프로젝트를 장기적으로 관찰하며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BOME의 시가총액은 10억 달러(약 1조 3300억 원)를 넘어섰으며, 거래소에 큰 수익을 안기고 있다. 하지만 업계 내부에서는 밈코인이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크립토퀀트 CEO는 “10억 달러 규모의 밈코인이 합법적인 제품을 개발 중인 팀의 노력을 가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거래량 / 출처 : defillama.com
거래량 / 출처 : defillama.com

✉ eb@economybloc.com

└관련 뉴스

최신 뉴스📨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사인(SIGN) 코인 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바이낸스
2

국힘, 디지털자산 7대 공약 발표 “현물 ETF 연내 허용 등 추진”

한국 비트코인
3

월드코인(WLD) 유통량 해설

월드코인
4

업비트, 사인(SIGN)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5

바이낸스US, 버추얼(VIRTUAL) 코인 상장 예정

바이낸스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