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기반 RWA 미채권 펀드 출시 및 RWA 시장 동향

RWA 시장 성장
출처 : rwa.xyz

WA 시장 8.6억달러 규모로 성장…이더리움 점유율 50% 넘어

미국 자산운용사 슈퍼스테이트(Superstate)가 4월 1일, 펀드 자산을 블록체인상에서 운용하는 금융상품 ‘슈퍼스테이트 쇼트 듀레이션 미국 국채 펀드(USTB)’를 발표했다. 이 펀드는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용되며, 미국 내 투자자를 대상으로 제공된다.

USTB, 퍼블릭 블록체인 활용한 규제 승인 펀드

USTB는 미국의 단기 국채 및 정부기관채에 투자하는 온체인 펀드로,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 규제 승인을 받은 전통 펀드 구조를 구현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수수료는 연 0.15%로 책정됐으며, 거래는 미국 달러로 이뤄지지만, 스테이블코인 USDC를 통해 보다 원활한 거래 흐름을 지원한다.

투자자는 자체 지갑을 통해 직접 커스터디를 하거나, Anchorage Digital과 BitGo 등 외부 수탁기관을 선택해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슈퍼스테이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실물 자산의 토큰화와 투자 인프라 현대화를 목표로 하는 자산운용사로, 지난해 11월 시리즈 A 펀딩에서 1,400만달러를 유치해 주목받았다.

CEO 로버트 레쉬너(Robert Leshner)는 “나스닥, S&P500 지수, 금에 연동한 펀드 상품 출시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실물 자산 토큰화(RWA), 블록체인 유스케이스로 부상

RWA(Real World Asset)는 부동산, 예술품, 채권 등 실물 기반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으로, 최근 주요 유스케이스로 부상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RWA의 토큰화가 향후 1년간 가장 주목할 디지털 자산 발전 분야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금리 인상 기조 속에서 토큰화된 국채 수요는 특히 증가하는 추세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rwa.xyz’에 따르면, 2025년 4월 현재 토큰화된 국채 시장 규모는 8억6,000만달러에 달하며, 2024년 1월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이 RWA 토큰화 시장 주도

RWA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으로, 전체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스텔라(XLM), 폴리곤(MATIC), 솔라나(SOL) 등이 뒤를 잇고 있어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의 RWA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슈퍼스테이트의 이번 펀드 출시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자산운용이 전통 금융시장과의 접점을 넓혀가고 있으며, 실물 연계 자산의 디지털화가 새로운 투자 접근 방식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블록체인 점유율: 이더리움이 주도
출처 : rwa.xyz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이더리움 커뮤니티 콘퍼런스, 칸에서 월스트리트 미래를 그리다

앰버 인터내셔널, 암호화폐 투자 위해 370억원 투자 유치

타이코 롤업 서밋에서 본 10가지 이더리움 확장 방향

전 이더리움 개발자 “3가지 요인으로 상승 촉발할 것”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트럼프, 7일 무역 서한 발송 예정…EU, 협상 타결 총력전

14년 만에 이동한 비트코인 8만개 OTC 거래 전망도

브라질 거래소 메르카도비트코인, XRP 기반 실물자산 토큰화 추진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트럼프, 7일 무역 서한 발송 예정…EU, 협상 타결 총력전

크립토 고래

14년 만에 이동한 비트코인 8만개 OTC 거래 전망도

트럼프, 美 ‘원 빅 뷰티풀 법안’ 서명

인기뉴스

1

업비트 “코인빌리기 서비스” 오픈

업비트
2

14년 만에 이동한 비트코인 8만개 OTC 거래 전망도

크립토 고래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4

개인 채굴자가 2800분의 1 확률 뚫고 3.1BTC 채굴 성공

비트코인 채굴
5

트럼프, 美 ‘원 빅 뷰티풀 법안’ 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