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이더리움, 비트코인 웃도는 상승 기대된다”

출처: CoinMarketCap
출처: CoinMarketCap

Dencun과 EIP-4844 등 핵심 기술적 변화 주목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이 이더리움(ETH)이 2024년 비트코인 및 다른 주요 디지털 자산보다 높은 상승 가능성을 지녔다고 전망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러한 전망의 배경에는 이더리움의 대규모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인 ‘덴쿤(Dencun)’과 이를 구성하는 핵심 제안 EIP-4844의 도입이 있다.

JP모건 니콜라스 파니조글루가 이끄는 분석팀은 비트코인의 상승 요인인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이나 반감기 효과가 이미 시장 가격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더리움은 내년 가상자산 생태계에서 점유율을 회복하고 주도권을 다시 확보할 것으로 예상했다.

EIP-4844는 ‘프로토 덩크 샤딩’으로 불리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하고 L2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블록에 첨부되는 데이터 블롭(blob)은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지만, 영구 저장되지 않아 비용 효율을 높인다.

EIP-4844는 이더리움의 전통적 샤딩 방식 대신 간소화된 형태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며, L2에서 메인 블록체인(L1)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고, 옵티미즘(OP), 아비트럼(ARB) 등 L2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더리움 시가총액 점유율은 2021년 8월 20%에서 현재 약 16.9% 수준으로 감소한 상태다. 애널리스트들은 2024년 상반기로 예정된 업그레이드를 계기로 네트워크 활동과 점유율 모두 회복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한편, 분산형 금융(DeFi)의 경우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브로드리지, JP모건 등 일부 기업이 스마트컨트랙트를 활용한 거래를 시도하고 있으나 대부분 프라이빗 체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분석됐다.

또한, 채권 등 실물자산(RWA)의 토큰화는 점차 진전되고 있으나, 플랫폼 간 단편화, 상호운용성 부족,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 지연, 규제 부재 등이 여전히 주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7/3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20억원 순유출

JP모건 블록체인 계열사, 탄소배출권 토큰화 시범 추진

美 SEC, 그레이스케일 디지털 대형 암호화폐 펀드 ETF 전환 중단 후 추가 검토

7/2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554억원 순유입

DEX 주피터, CWG 활동 종료…JUP 코인 450만개 DAO에 반환

빗썸, 휴머니티 프로토콜(H)·만트라(OM) 코인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로빈후드 소유 비트스탬프, 싱가포르서 결제사업자 라이선스 획득

뉴욕 로펌, 스트래티지 상대로 비트코인 투자 관련 집단소송 제기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미국 중국 관세 전쟁

미국, 중국 대상 반도체 소프트웨어 수출규제 철회

업비트

업비트, 무뎅(MOODENG)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트럼프, ‘빅 뷰티풀 법안’ “오늘밤 처리 임박, 역대 최대 감세”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美 증시 사상 최고치…트럼프-베트남 무역 합의에 투심 개선

인기뉴스

1

머스크 “트럼프, 여러 분쟁 해결…공은 인정해야” 언급

트럼프 / 일론머스크
2

업비트, 무뎅(MOODENG)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3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상위 50개 코인, ETF 상장될 정도로 기준 완화될 것”

코인 이미지
4

도이치방크·갤럭시·플로우, 독일 첫 MiCA 승인 유로 스테이블코인 추진

도이체방크
5

미국 M2 통화공급 사상 최대, 비트코인 기대감도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