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의 일본 투자, 찰리 멍거 “하늘이 돈을 내린 것 같았다”

  • 저금리 조달로 고배당 주식 투자… “위험 없이 수익 창출”
  • 일본 5대 종합상사 지분 7.4%까지 확대

버크셔 해서웨이 부회장 찰리 멍거는 워런 버핏의 일본 투자를 두고 “신이 상자를 열고 돈을 쏟아부은 것과 같았다”고 평가하며, 최소한의 리스크로 높은 수익률을 창출한 대표적 사례라고 밝혔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멍거는 해당 투자가 “팬데믹 기간 중 거의 위험 없이 막대한 수익을 낼 수 있었던 드문 기회”였다고 말했다.

0.5% 조달로 5% 수익률 확보

버크셔 해서웨이는 일본에서 연 0.5%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5%의 배당 수익률을 지급하는 일본 상장기업 주식에 투자했다.

멍거는 “기회가 너무 많아 거절할 수 없었다”며 “일본 금리는 10년간 0.5%였고, 우리가 투자한 기업들은 매우 안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

2020년 60억 달러 투자… 지분 꾸준히 확대

버크셔는 2020년 여름, 일본의 5대 종합상사에 총 60억 달러(약 8조 40억 원) 상당의 지분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당시 각 기업별로 약 5% 수준의 지분을 매입했으며, 최근에는 평균 7.4%까지 지분율을 확대했다.

“우리는 매우 인내심 있게, 조금씩 지분을 늘렸다”고 멍거는 설명했다.

버크셔의 신용 등급이 만든 기회

멍거는 “우리가 유일하게 그런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업이었다”며, 버크셔의 높은 신용 등급이 저금리 조달을 가능케 한 주요 요인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금리가 0%에서 5% 이상으로 급등한 상황과 비교하면, 버크셔의 일본 투자는 특히 현명한 결정이었다”고 평가했다.

찰리 멍거는 “정말 쉬운 돈이었다”며 해당 투자 전략의 성공을 회고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
이미지 출처 / CNBC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버크셔, 2분기 애플 지분 축소…T모바일 처분·유나이티드헬스 편입

바이낸스 창립자 자오창펑, 89조원으로 중국계 최고 부호 등극

워런 버핏, 친가상자산 은행 누뱅크 지분 전량 매도…3500억원 수익 실현

버크셔 해서웨이, 이론상 비트코인 352만개 매수 가능

비트마인, 주간 이더리움 8만2353개 추매…총 339만5422 ETH 보유

미국 서머타임 해제…뉴욕증시 밤 11시30분 개장

브라질 방코인터·체인링크, 브라질-홍콩 중앙은행 간 실시간 CBDC 결제 시범 완료

주간 디지털자산 투자 상품 $3.6억 순유출

인기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비트코인 채굴기업 ‘아이렌’과 $97억 규모 AI 클라우드 계약

아이렌(IREN)
2

빗썸, 카이트(KITE) 코인 원화마켓 상장 예정

빗썸
3

바이낸스, 카이트(KITE) 코인 현물·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바이낸스
4

알트코인 ETF들 미국서 11월 상장 전망…신청서 수정 잇따라

알트코인 이미지
5

업비트, 카이트(KITE)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6

바이낸스 자오 창펑 “아스터(ASTER) 코인 내돈내산”

아스터
7

비탈릭 “지케이싱크는 이더리움 생태계 핵심” ZK 토큰 주간 70%↑MINA 30%↑

지케이싱크(zkSync)
비트마인 이머전
스트래티지(MSTR)
업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