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증시, 기술주 수요와 일본 증시 강세에 상승세

중국 제조업 둔화·미국 금리 전망 주목…일본 기술주 주도 상승

3일 아시아 주요 증시는 기술주 수요 증가와 일본 증시의 활기에 힘입어 상승세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경제 지표와 미국의 금리 전망이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중국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 따르면, 6월 공장 활동은 시장 기대치를 다소 상회했지만 여전히 둔화 흐름을 보였다. 이에 중국 중앙은행은 경기 부양을 위한 ‘강력한 조치’를 약속했다. 이는 분기 기준으로 5% 하락한 중국 우량주에 대한 대응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일본 증시는 기술주 강세와 엔화 약세, 미중 간 경제 분리 상황에서의 반사이익 등으로 니케이 지수가 연초 대비 약 20% 상승했다. 일본은행 조사 결과, 공급망 제약 완화와 팬데믹 억제 조치 해제로 인해 2분기 기업 심리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에서도 애플, 테슬라 등 주요 기술주의 실적 호조가 증시 상승을 견인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소비자 지출의 안정화 추세를 반영해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금 가격은 세계적으로 금리 상승 압력이 지속되면서 약세를 보였고, 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추가 감산 기대에 따라 상승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미 달러지수, 1973년 이후 상반기 최대 하락폭 기록

골드만삭스 “시장, 미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높아”

트럼프의 ‘빅뷰티풀 법안’ 상원 첫 관문 통과

뉴욕증시 상장사 DDC,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위해 7600억원 확보

플룸, 스테이블코인 ‘USD1’ 채택…pUSD 준비금 활용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이더리움 커뮤니티 재단’ 출범…“ETH 소각효과 있는 프로젝트만 지원”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코인 이미지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제롬 파월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미국 공화당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그레이스케일

美 SEC, 그레이스케일 ‘BTC·ETH·XRP·SOL·ADA 혼합형 암호화폐 펀드’ ETF 전환 승인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2

7월 코인 · 거시경제 일정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4

트럼프, 머스크 정조준…”보조금 없었으면 사업 접었을 것”

5

머스크 “빅뷰티풀 법안 통과 시 ‘아메리카당’ 신규 창당”

일론 머스크